감기 초기에 방풍죽을 먹으면 감기가 잘 낳게 됩니다
방풍죽은 예로부터 풍을 막아준다고 하여 한약재로 많이 사용되어 왔습니다.
그래서 방풍죽은 중풍예방에 좋은 음식으로 중풍예방을 위한 민간 요법의 하나로 활용되었는데요.
방풍죽은 중풍이 발생했을 때 증상이 심각하지 않은 경우에 방풍죽을 먹으면 증상이 완화되고 중풍이 발생했을 때 회복이 빠른 것을 보면 중풍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은 분명합니다.
또 한방에서는 기혈이 허약하고 피부가 마를 때 사용하기도 합니다.
방풍죽 만드는 방법도 어렵지 않은데요.
죽이 다 쑤어지면 채에 거른 뒤 방풍자를 띄워 먹으면 됩니다.
또 방풍뿌리는 중풍을 예방하는데 쓰기도 하는데 방풍죽을 먹으면 중풍에 효과가 있다고 보면 됩니다.
방풍뿌리에는 게코라 하는 효능이 있는데 게코는 곤충의 유충이 탈피를 하며 상처가 생기면 상처 부위로 몰려든 게코에 의해 상처가 곪거나 덧나다 못해 결국 죽게 되는 데 게코가 방풍뿌리를 먹으면 게코의 단백질 분해 효소가 몸에 들어오는 유해물질을 분해한다.
그래서 방풍뿌리에는 살충효능이 있어 게코에게 유해한 해충의 알이나 유충, 약충의 몸을 뒤덮어 죽게 해 병충해로부터 보호하는 효능이 있고 방풍의 알칼로이드 성분은 신경성 경련을 억제하는 작용을 합니다.
방풍죽은 소화력이 약한 사람에게도 도움이 되는데요.
방풍죽을 먹게 되면 위장이 튼튼해지고 소화력이 향상되며 식욕을 증진시키는 등의 효과도 있습니다.
그래서 감기 초기에 방풍죽을 먹으면 감기가 잘 낳게 됩니다.
방풍죽은 혈압에도 도움이 되는데요.
방풍죽에는 에페드린이란 물질이 들어 있는데 에페드린은 기침을 멎게 하고 가래를 없애는 작용을 하는데 방풍죽을 먹으면 이러한 효과가 더 커집니다.
방풍죽은 위를 튼튼하게 하거나 강장작용도 합니다.
그래서 감기를 자주 앓거나 잦은 식욕부진과 소화불량에 걸린 사람에게 좋습니다.
그래서 부종으로 인한 다리나 발목의 부종에는 방풍죽을 먹으면 부기를 가라앉히고 부기가 빠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술을 많이 마시는 사람들에게도 방풍죽은 좋은 음식입니다.
방풍죽에는 비타민C가 많이 들어 있어 항산화 작용이 있고 피부를 보호하는데 좋습니다.
또 방풍죽에는 방풍 뿌리에는 게코스테롤이란 성분이 들어 있어 피부의 모공을 막는 유해한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항균작용을 하기 때문에 피부를 보호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다만 일반 독감은 풍한사가 몸속에 침투한 것이므로 방풍죽을 너무 많이 먹으면 몸의 균형이 깨져 풍한사가 몸속에 더 많이 침투하게 하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방풍죽을 너무 많이 드시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방풍죽을 먹을 때는 방풍뿌리는 제거하고 줄기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방풍죽은 노인이나 소화력이 약한 사람에게는 소화가 잘 안 되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는데요.
그럴 때는 방풍죽과 함께 찹쌀과 맵쌀을 섞어서 죽을 쑤어 먹으면 됩니다.
방풍죽은 만들 때는 방풍을 깨끗이 씻고 체에 밭쳐 물기를 뺀 다음 방풍을 넣은 뒤 방풍이 잠길 정도로 물을 붓고 20분간 삶은 다음 방풍은 건져내고 방풍물을 가라앉혀 윗물만 사용합니다.
쌀과 찹쌀을 섞어 죽을 쑤는데 찹쌀을 섞지 않고 그냥 사용하기도 합니다.
방풍죽에 잣이나 땅콩, 호두 등 견과류를 함께 넣어 먹으면 더 좋습니다.
특히 잣은 풍을 없애고 눈을 밝게 하며 두통, 변비가 있을 때 좋은 효과가 있다고 하고 호두는 기력을 증강시키고 기억력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방풍죽은 방풍을 삶은 물에 밥을 짓고 그 위에 방풍나물을 넣고 죽을 쑤면 됩니다.
소금이나 간장으로 간을 하면 되는데요.
죽을 쑬 때 소금이나 간장을 조금 넣으면 방풍향이 죽에 스며들어 좋습니다.
또 방풍죽을 끓일 때 설탕을 넣어 끓이면 단맛이 더해져 맛이 좋습니다.
방풍죽은 하루 세 끼 식사 중 한 번 정도 먹으면 되며, 식전에 먹는 것이 효과가 더 좋습니다.
그래서 감기를 예방하는 효과도 볼 수 있는 것입니다.
비타민C가 풍부하기 때문에 감기와 같은 바이러스성 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고 피곤함을 덜 느끼게 합니다.
이렇게 몸에 좋은 방풍죽은 소화력이 약하거나 식욕부진이 있을 때 먹으면 좋습니다.
또 신경이 예민하고 마음이 안정이 되지 않을 때도 도움이 되는데요.
또 피부가 건조하거나 가려울 때 먹으면 좋습니다.
방풍죽을 만들 때는 방풍을 깨끗하게 씻은 뒤 물기를 턴 뒤 방풍을 6~7cm 길이로 썰고 속에 있는 방풍 껍질을 벗기고 물로 깨끗이 씻은 뒤 방풍은 건져내고 방풍물을 충분히 붓습니다.
이어서 방풍자를 띄워 끓이는 물을 넣고 주걱으로 잘 저으면서 끓인 뒤에 소금이나 간장으로 간을 합니다.
방풍죽을 먹을 때는 방풍을 넣은 뒤 끓여낸 물로 죽을 쑤어 먹으면 되는데요.
방풍자에는 게코스테롤이라는 성분이 있는데 게코스테롤은 지방질을 분해하는 효소로 지방질을 분해하여 비만을 예방하고 변비를 없애는 효과가 있습니다.
방풍죽을 먹을 때는 방풍자를 함께 넣으면 좋지만 방풍죽을 끓이는 물을 넣을 때 방풍자를 넣지 않고 방풍죽을 끓이는 물에 방풍자를 넣고 끓여내도 됩니다.
방풍죽은 오래 먹으면 효과를 보는 음식인데요.
<경고사항>
이 글은 전문가가 아닌 블로거 개인이 작성한 글이므로,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필자는 글의 내용으로 인한 모든 피해에 대해 책임지지 않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필요한 경우 반드시 전문가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