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콩의 영양성분 중 잘 알려진 것은 이소플라본, 안토시아닌 같은 생리활성물질이다
이번 글에서는 영양 전문가가 알려주는 검은콩의 효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콩은 밭에서 나는 쇠고기라 할 정도로 그 영양가가 뛰어나다.
어떻게 먹는 것이 좋을까요?
검은콩에는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식이섬유, 비타민, 칼슘, 레시틴, 이소플라본 등이 들어 있다.
검은콩의 영양성분 중 잘 알려진 것은 이소플라본, 안토시아닌 같은 생리활성물질이다.
그래서 몸에 좋은 천연 에스트로겐 성분을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콩이다.
특히 검은콩에는 식이섬유가 많이 들어 있어 만성 변비에 좋다.
어떻게 먹을까?
1 검은콩을 깨끗이 씻은 후 물기 없이 팬에 볶는다.
콩을 볶으면 고소한 맛이 더해진다.
2 검은콩을 팬에 넣은 후 소금을 뿌려 콩이 숨죽정도로 볶는다.
콩은 색깔에 따라 검은콩, 노란콩, 푸른콩, 얼룩콩으로 다양하게 있는데 우리가 쉽게 알 수 있는 검은콩이 대부분이며 여러 가지 곡식이 있다.
검은콩에서 약콩을 제외한 모든 콩은 쥐눈이콩이라고 부르고 한방에서 약으로 쓰여진다.
검정콩은 9가지 필수아미노산이 균형있게 들어 있으며 불포화지방산도 많아 콜레스테롤을 내리고 단백질과 피부미용에도 좋다.
검은콩이 흰콩보다 좋은 이유는 ‘이소플라본’을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밖에도 검은콩은 피부의 탄력성을 유지해 준다.
1. 검정콩은 깨끗이 씻어 햇빛에 말린 것을 이용합니다.
2. 콩 5g에 물 2컵(400ml)를 넣고 완두콩 정도 크기의 물이 절반이 되도록 삶는다.
3. 검정콩을 두손으로 비벼 씻고 체에 건져 물을 빼서 약 1시간쯤 두었다가 솥에 넣고 불린 다음 냄비에 넣고 삶는다.
4. 콩이 충분히 불으면 되직하게 될 때까지 삶는데 콩이 덜 익었을 때는 다시마를 함께 넣고 삶는다.
5. 삶은 콩을 거즈로 싸서 여러 번 걸러 콩물을 받아낸다.
6. 이때 콩물을 받아 놓았다가 보관하지 않고 다음번에 삶으면 맛이 더 좋다.
1) 콩물의 보관 방법 1. 콩이 물에 잠겨 있는 경우는 한나절 시간 동안 물에 담가 두는 것이 좋고 또 물에 담갔다가 건지는 것은 좋지 않다.
물에 담그는 것은 시간과 노력상의 낭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냉장고의 전기 낭비까지도 초래하게 된다.
2) 장기간 보관할 콩물은 하루쯤 불린 뒤에 삶아 먹는 것이 보다 안전하다.
3) 냉동실에 콩물을 저장할 때는 반드시 랩에 싸서 보관한다.
만약 해동 시켰을 때 물이 생기면 냄비 속에 냉장고에 넣어 둔 것과 같으므로 콩물을 버리고 새물을 받아 이용해야 한다.
큰 솥에 가득한 콩물을 냉장고에 넣으면 자주 냉장고 문을 열고 닫아야 하는 불편함을 덜어 준다.
2. 생콩의 보관법 1) 생콩을 보관할 때는 잘 씻은 다음에 껍질을 벗기고 물에 담그지 않고 보관한다.
2) 콩을 삶는 방법은 1회를 표준으로 하고 2회 때는 껍질을 벗겨 빻은 후에 약간의 소금을 넣어 잘 무친다.
3) 생콩을 저장할 때는 냉장고에 넣지 말아야 하며 생으로 이용할 때는 깨끗하게 씻어 물기를 빼고 밀폐용기에 저장한다.
3. 검은콩의 작용 (1) 한방에서는 검은콩을 흑두 또는 쥐눈이콩이라 한다.
검은콩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쥐눈이콩에도 두 가지가 있는데, 그 하나는 속청처럼 검고 달착지근하며 다른 하나는 푸르고 붉은 외팥같은 색을 지닌다.
껍질이 까맣고 크기는 대체로 쥐눈이콩을 약으로 쓰지만, 쥐눈이콩은 주로 약용하는데, 그 약성은 쥐눈이 콩과는 거의 같다.
국, 콩조림, 된장, 콩나물, 두부, 두유, 콩나물국, 달갈, 어알탕, 어두, 콩잣죽, 흑두, 두유, 땅콩두부, 녹두, 콩떡, 완두콩, 검은깨, 콩국, 흰콩, 콩국, 비지, 팥, 두유, 녹두, 팥콩, 포도녹콩, 칡가루, 들깨, 검은깨, 잣, 호두, 완두콩, 김, 차좁쌀, 청대콩, 청태, 청대콩, 광저기콩, 강낭콩, 대두, 녹두, 팥, 검정콩 등 약으로 쓰이는 콩과식물의 종류에는 팥, 강낭콩, 녹두, 동부 등이 있다.
콩을 고를 때는 그 빛깔과 맛을 보며 익은 것을 따야 하며, 그 색이 선명한 것이 좋다.
그리고 꼭지가 붙어 있거나 싹이 희고 통통한 것이 좋다.
검정콩(흑대두, 콩) 성분 구성을 보면, 단백질 40%, 지방 35%, 탄수화물 32%로 성분은 당질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콩에 들어 있는 인지질은 동물성 지방을 대신하는 효과가 있다.
약효로는 대변을 잘 보게 하고 기를 북돋아 주며, 검정콩의 해독 작용은 주로 껍질에 있다.
검정콩(서리태, 쥐눈이콩) 검정콩의 약성을 살펴보면, 콩 100g당 에너지는 156cal로 낮지만 단백질 함량은 40%, 지방은 18%나 된다.
<경고사항>
이 글은 전문가가 아닌 블로거 개인이 작성한 글이므로,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필자는 글의 내용으로 인한 모든 피해에 대해 책임지지 않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필요한 경우 반드시 전문가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