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김칫국의 효능과 함께 다른 식재료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외국 학계에서 칭찬하는 김칫국의 효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김칫국이 주는 효과는 소화기관에 좋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입니다.
다만 그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잘 알려져 있지 않죠.
이번 포스트에서는 그동안 단편적으로 알려졌던 김칫국의 효능을 제대로 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먼저 김칫국의 재료인 무우와 배추를 중심으로 그 효능을 알려드리고 그 다음에는 다른 재료를 이용하는 방법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소화불량에 좋은 음식이라고는 하지만 자주 먹지는 않는 식품입니다.
따라서 효과가 확실한 김칫국을 꾸준히 섭취한다면 소화기관이 더욱 건강해질 것입니다.
다음은 김칫국의 주재료인 무우입니다.
무의 뿌리는 토복령(土茯苓)이라고 하여 약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토복령은 산간의 토복령이 아니라 집 근처의 산에서 캐낸 뿌리입니다.
무우 중에서도 잔뿌리가 많은 것이 토복령입니다.
다음은 무의 잔뿌리입니다.
따라서 잔뿌리에는 많은 영양소가 남아 있지 않습니다.
잔뿌리는 영양소가 많은 부분이기 때문에 잔뿌리를 먹는 것이 좋은 선택일 것입니다.
다음은 배추입니다.
배추는 한 겨울을 나기 위해 영양분을 뿌리에 저장하였다가 다음에 봄이 되면 줄기와 잎에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런 점을 생각해 보면 배추는 우리에게 매우 이로운 식품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배추는 배추김치와 겉절이로 많이 먹지만 날것으로도 충분히 먹을 수 있습니다.
한겨울을 나기 위해서 영양분을 저장해 놓고, 봄이 되면 좋은 영양분을 공급해 주는 배추, 이 배추를 잘 먹는 것이 우리는 건강을 위해 가장 좋은 선택일 것입니다.
또한 여러 가지 소화효소를 함유하고 있어 소화를 촉진시키는 작용을 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무에는 디아스타아제라는 성분이 있습니다.
이 성분은 탄수화물을 분해하여 포도당으로 만들어 줍니다.
이 포도당은 음식을 통해 이용되기 때문에 소화과정을 통해 몸에서 활용되는 것입니다.
또한 이 디아스타아제는 디아민과 아민의 결합으로도 분해되기 때문에 소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죠.
돼지고기에는 메치오닌이라는 성분이 풍부합니다.
간은 몸에서 해독작용을 하기 때문에 간이 건강해야 몸 전체가 건강해질 수 있습니다.
간 건강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나빠지는데, 돼지고기에 풍부한 메치오닌은 간의 기능을 도와 간기능을 향상시키거나 간을 건강하게 만들어 주어 건강한 몸을 유지시켜 줄 것입니다.
명태는 북어(건태)와 황태를 만드는 재료로 사용됩니다.
또한 명태는 단백질, 칼슘, 인, 철분, 아미노산 등 영양가가 풍부한 건강식품으로 숙취 해소에 뛰어난 효과가 있습니다.
명태에는 간을 보호하는 메티오닌 성분이 풍부하여 소화를 촉진시키고, 술로 혹사당한 간을 보호해 주기 때문입니다.
된장에는 단백질이 풍부하고, 장을 깨끗하게 해줍니다.
청국장은 생청국장으로 먹는 것이 좋고, 된장을 끓일 때는 물에 풀지 말고 청국장을 넣은 뒤에 풀어서 끓여줘야 합니다.
우리 몸의 신진대사가 원활하지 않으면 노폐물이 몸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내부에 쌓일 수 있습니다.
이때 노폐물을 체외로 배출시켜 신진대사가 원활하도록 돕는 것이 콩이며, 이를 돕는 것이 식이섬유와 각종 비타민, 미네랄입니다.
콩은 100% 콩으로만 된 것도 있으며, 두부로 만들어 먹거나 된장, 청국장, 막장 등으로 만들어 먹기도 합니다.
된장은 생된장, 쌈장, 고추장, 막장 등으로 만들어 먹기도 합니다.
생청국장에는 청국장균이 가지고 있으며, 그 능력을 이용하여 각종 비타민 B, 무기질 등이 풍부하게 들어 있습니다.
특히 비타민 B2가 콩의 60배 정도 들어 있기 때문에 청국장을 먹으면 비타민 B2를 충분히 보충할 수 있습니다.
비타민 B2는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피부를 건강하게 만들고 노화를 방지하며, 해독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화기관이 튼튼한 사람들이 건강을 위해 김칫국을 먹는 것이 아니라, 소화기관이 약한 사람들도 김을 먹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이 같은 무가 가진 소화촉진 효과로 김칫국이나 무침, 볶음 요리 등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습니다.
또 무에는 디아스타아제가 풍부하여 소화를 촉진시키고, 배추에는 그보다 더 많은 아밀라아제가 있어 소화를 촉진시킵니다.
다음은 김칫국의 효능과 함께 다른 식재료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김치콩나물국 김칫국 만드는 방법 1. 국산콩으로 만든 콩나물 한 봉을 준비합니다.
2. 대파와 마늘을 준비합니다.
3. 콩나물 한 봉지를 가위로 적당하게 먹기 좋게 자릅니다.
4. 냄비에 물에 소금을 넣고 끓입니다.
5. 물이 끓으면 콩나물을 넣고 끓여줍니다.
6. 어느 정도 익으면 대파와 마늘을 넣어줍니다.
7. 국물 맛을 본 후 소금으로 간을 맞추면 됩니다.
이렇게 해서 만든 김칫국은 맛있는 김치와 함께 추운 겨울을 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경고사항>
이 글은 전문가가 아닌 블로거 개인이 작성한 글이므로,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필자는 글의 내용으로 인한 모든 피해에 대해 책임지지 않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필요한 경우 반드시 전문가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