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릅의 맛을 더 살려주는 양념장
두릅의 충격적인 효능들.
먼저 두릅의 충격적인 효능을 살펴보기 전에 두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두릅은 목두채, 나무두반대라고도 하며, 산채의 제왕이라고 불리는 고급 산채 중의 하나입니다.
흔히 봄나물이라고도 칭하는 두릅, 하지만 요즘은 계절에 관계없이 언제든 쉽게 구할 수 있는 나물이기도 하지요.
두릅은 참두릅과 개두릅으로 나뉘는데 참두릅은 대개 4~5월에 채취하여 시장에 나오고, 개두릅은 주로 남쪽 지역에서 자생하고 3~4월에 채취합니다.
참두릅과 개두릅의 차이점은?
참두릅: 가시가 비교적 적고 없는 편이며 줄기에 솜털과 같은 가시가 있다.
참두릅은 땅두릅과 나무두릅으로 나뉘는데 땅두릅은 4~5월에 채취하여 시장에 나오고, 나무두릅은 주로 3~4월에 채취하여 시장에 나옵니다.
두릅의 손질.
두릅은 밑둥에서부터 한 장씩 떼어서 흐르는 물에 흔들어 가며 깨끗이 씻은 후 소쿠리에 건져서 물기를 제거하세요.
두릅은 끓는 물에 소금을 약간 넣고 살짝 데치시거나, 살짝 데친 후에 바로 찬물에 헹궈서 요리하시면 됩니다.
두릅의 맛을 더 살려주는 양념장.
두릅을 데친 후 건져낸 식힌 물에 간장과 설탕을 2:1 비율로 넣은 후에 살짝 버무려주세요.
간장에 설탕이 들어가면 약간 짭조름해지면서 달콤해집니다.
데친 두릅에 양념장을 끼얹어 버무려 주시면 됩니다.
두릅의 양념에 깨를 넣으면 두릅의 풍미를 한층 더하게 해주고, 참기름을 넣으면 두릅이 훨씬 부드러운 맛을 내게 합니다.
두릅산적 만드는 법.
두릅은 깨끗이 씻은 후 뜨거운 물에 소금을 약간 넣어 데친 후에 찬물에 재빨리 헹궈 물기를 제거하세요.
두릅을 꼬치에 꿰어 밀가루를 약간 발라가며 노릇하게 구워내시면 됩니다.
두릅은 데친 후에 바로 찬물에 헹구지 마세요.
데친 후에 찬물에 헹구면 특유의 떫은맛이 자칫 사라질 수 있습니다.
밀가루, 소금, 물을 3:1의 비율로 넣고 반죽하여 냉장고에 30분 정도 휴지 시킨 후에, 부침개로 얇게 만들면 됩니다.
두릅 특유의 떫은맛과 안 좋은 잡맛이 빠져나갈 틈이 없습니다.
봄이 되면 두릅으로 전을 만들어 보세요.
두릅전은 봄이 되면 밥을 지을 때, 물에 밥을 말아서 두릅전을 올려 먹으면 밥도둑이 따로 없을 정도로 맛이 좋습니다.
두릅의 효능.
두릅에는 섬유소와 사포닌, 비타민 C도 많아서 변비에 효과가 있습니다.
특히 면역력을 높여주고, 피로회복에도 효과적이라 피곤이 많이 쌓이신 분들이나 수험생들이 드시면 좋다고 합니다.
그래서 소화장애가 있거나, 위가 약한 사람, 위가 약할 때 두릅을 꾸준히 먹게 되면 위를 튼튼하게 만들어준다고 합니다.
두릅을 꾸준하게 드시면 혈액순환이 좋아진다.
봄이 되면 잃어버린 입맛을 되찾기 위해 나물을 찾는 분들이 참 많습니다.
하지만 자연의 향기가 가득한 봄나물도 주의하세요.
독초를 구별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먼저, 봄나물은 뿌리에 잎이 달려 있는 반면, 독초는 뿌리가 생기지 않고 잎과 줄기가 바로 말라죽는 것이 특징입니다.
두릅은 비타민 C, 칼슘, 사포닌, 단백질, 섬유질이 많은데 많이 드시면 안 좋다고 합니다.
고사리는 부드럽게 불려서 데치거나, 푹 삶아서 조리하는 게 좋아요.
봄나물은 보통 데치지 않고 열을 가해서 조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봄나물은 소금을 넣은 끓는 물에 넣고, 바로 꺼내서 찬물에 헹구는 게 좋습니다.
두릅의 효능과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봄나물은 몸에 좋은 성분도 많지만, 부작용과 독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꼭, 올바른 조리법으로, 올바른 방법으로 드시는 게 건강에 가장 좋습니다.
이상, 건강에 좋은 두릅을 알아보았습니다.
<경고사항>
이 글은 전문가가 아닌 블로거 개인이 작성한 글이므로,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필자는 글의 내용으로 인한 모든 피해에 대해 책임지지 않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필요한 경우 반드시 전문가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