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국의 주 원료는 쌀과 멥쌀가루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영양 전문가들이 입모아 칭찬하는 떡국의 충격적인 효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식품입니다.
떡국은 우리 나라의 전통음식이므로 우수한 영양학적 가치가 있습니다.
열량을 보면 1인분 약 400kcal 인데, 이것은 같은 분량의 밥의 약 34이고, 빵의 약 13이며, 소고기의 약 13의 영양에 해당됩니다.
단백질을 보더라도, 쌀의 약 8배, 콩의 약 32배, 쇠고기의 약20배에 달하고 있어서 단백질을 포함한 각종 영양소의 균형이 잘 잡혀 있습니다.
떡국을 포함한 국은 거의 소금을 치지 않으므로 칼슘과 나트륨의 균형도 이상적입니다.
게다가 국에 첨가하는 양념은 파, 마늘, 고추 등으로 이들 재료가 갖고 있는 미량 미네럴도 균형있게 포함되어 있어 그야말로 영양의 밸런스를 표시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양념 중 간장은 약 나트륨의 40%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것은 전체 소금의 약 23에 해당되어 단백질을 비롯한 각종 영양소의 대사 를 촉진시켜 줍니다.
떡국은 주식에 해당하므로 곡류 및 그밖의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이 주성분을 이루고 있어 영양적으로 매우 균형잡힌 식품입니다.
2. 변비를 예방해 줍니다.
우리나라사람에게 식생활 습관병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로 변비증을 들 수가 있는데, 매우 시사적이고 주목할만한 식이요법 중의 하나입니다.
변비는 전 인구의 20~35%가 갖고 있는 매우 흔한 증상이며, 최근 조사된 보고에 의하면 우리나라 성인남녀의 약 70%가 변비증상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부분의 변비는 변을 잘 볼 수 없는 무력성 변비로서 식사요법도 중요하지만 특히 아침식사전의 배변 습관이 중요합니다.
아침식사를 안하는 사람은 가벼운 변비로 배변이 불가능하여 점심·저녁식사, 야간에 취침전에 배변하는 식으로 배변을 3~4일만 안봐도 변비의 고통을 느낍니다.
섬유질이 많은 음식은 대변의 재료가 되어서 대장의 운동을 촉진시키고 직장에 쌓여 있는 숙변을 흡착하여 배변을 용이하게 합니다.
섬유질은 식물성에 많은 불용성 섬유질과 밀기울,야자껍질,해초,버섯 등에 많은 수용성 섬유질로 대별되며, 밀기울은 수용성의 비섬유성분에 속하고, 채소류는 매우 적은 섬유질을 갖고 있습니다.
그런데 밀기울은 그 자체로는 섬유질의 함량이 밀기울에 들어 있는 셀룰로스의 양에 못미치기 때문에 셀룰로스가 많은 옥수수와 함께 섞어서 섬유분을 빼내었으나 섬유소는 밀기울과 거의 같은 함량을 보입니다.
따라서 밀기울을 넣은 떡국은 변비를 예방, 치유하는데 매우 좋습니다.
떡국의 주 원료는 쌀과 멥쌀가루입니다.
멥쌀가루에는 아밀로오스(Amylose)라는 성분이 있어 쌀밥을 주식으로 할 때 부족되기 쉬운 성분입니다.
아밀로오스는 장에 들어가면 포도당으로 변하여 소화흡수가 잘됩니다.
그런데 이 아밀로오스가 일부 사람의 소장에서 분해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데 쌀은 아밀로오스보다 아밀로펙틴(Amylopectin)이란 성분이 더 많습니다.
쌀의 주성분인 전분은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이 약 95%, 나머지 5%가 단백질입니다.
아밀로펙틴은 아밀로오스에 비해 단맛이 나는 성분이고, 소화가 잘되며, 더부룩함이나 구토증세가 훨씬 적습니다.
그런데, 떡국은 쌀을 주재료로 하고, 부수 재료로 멥쌀과 찹쌀을 섞어서 만듭니다.
그러므로, 식후에 섭취하는 것보다는 전분의 소화작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식사하기 30분전에 바로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또한 떡국은 위에 부담을 주지 않아서 건강식으로도 좋습니다.
옛날부터 많이 섭취하던 쌀, 찹쌀, 멥쌀의 전통적인 3곡은 단백질, 지방, 비타민, 무기질을 비롯한 각종 영양소가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어서 흔히 영양의 보고라고 불리웁니다.
특히 최근에는 쌀의 성분인 식이섬유의 중요성이 크게 강조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떡국의 경우는 멥쌀을 위주로 하기 때문에 섬유소가 매우 풍부하고 장운동을 활발하게 하여 체내의 유독물질을 밖으로 배출시키는데 크게 도움이 됩니다.
6. 노화방지 효과가 있습니다.
쌀의 노화는 주로 배아(胚芽)의 소화흡수율이 50%를 밑돌 때 일어납니다.
쌀의 배아는 쌀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쌀 1g을 생산하는데 약 3칼로리의 열량이 소모되며, 쌀을 익혀 도정시키면 더욱 많은 양의 칼로리가 생산됩니다.
즉, 쌀의 전분으로부터 노화를 방지하는 효소가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쌀을 물에 불렸다가 가루로 빻아서 찌거나 떡국을 만들려면 쌀가루에 물을 부어서 빻은 후 끓여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쌀가루가 습기를 빨아 들이거나 또는 덜 빻았기 때문에 맛이 나빠지게 되어 떡이 잘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쌀을 물에 불리거나 물을 부어서 찌는 것이 훨씬 좋습니다.
쌀은 처음에 물에 불리면 쌀의 구조가 파괴되어 그 가루가 거의 죽처럼 부드러워집니다.
그 후 물을 다시 붓고 하여 끓이면 쌀이 원래의 형태와 식감을 찾아 정상적인 쌀이 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쌀은 뜨거운 물과 찬물에 번갈아 씻으면 맛이 떨어지므로 처음부터 한꺼번에 씻는 것이 좋습니다.
처음에 더운 물로 쌀을 씻으면, 쌀의 전분질이 조금씩 떨어져 나갑니다.
그러나, 곧 쌀겨냄새가 나기 시작하고, 나중에는 하얀 쌀뜬물이 다 나오게 됩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나중에는 찬물로 쌀을 씻어 쌀의 전분질을 완전히 제거하여야 합니다.
또, 쌀을 오래 두면 녹말 성분이 하얗게 변하는데, 이것은 쌀의 녹말질이 파괴되어 소화가 잘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쌀은 찬물에 잠깐 담가서 녹말성분을 제거한 다음 씻거나 끓여야 합니다.
7. 정신적 스트레스를 해소해 줍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대부분 심리적 요소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떡국은 심리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식사를 하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들에게는 좋은 식품입니다.
또한 떡국은 심리적 안정 이외에도 학습능력을 높여주고, 자신감을 증진시키는 음식입니다.
<경고사항>
이 글은 전문가가 아닌 블로거 개인이 작성한 글이므로,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필자는 글의 내용으로 인한 모든 피해에 대해 책임지지 않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필요한 경우 반드시 전문가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