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미는 사람에게 나쁜 영향을 줍니다
사실 전문가들이 이야기하는 것은 다 좋은 것 아니겠습니까?
물론 전문가들은 의학계나 영양학계에서 공인한 사람들도 아니고 단지 자기들만의 리그에서 전문가로 통하는 사람들이니까요.
하지만 그들이 입모아 칭찬하는 것은 좋은 것이라고 믿습니다.
그럼 전문가들이 말하는 백미의 좋은 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에서 이야기하는 것은 저의 주관적인 생각이며 틀린 이야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저도 그렇게 생각하니까요.
1. 백미가 쌀밥보다 좋다.
여러분들은 어느 것이 더 좋습니까?
저는 개인적으로는 흰 쌀밥보다 잡곡밥이 훨씬 몸에 좋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이 생각에는 많은 사람들이 동의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제가 이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쌀밥이 쌀밥집에서 먹으면 맛있지만 식당에서 먹으면 건강에 좋을 것이 없다는 것을 알거든요.
(물론 식당은 식당으로서 역할을 해야겠지만요) 그렇다고 해서 제가 잡곡을 먹으라는 것은 아닙니다.
저도 잡곡만 먹습니다.
왜냐하면 흰 쌀밥이 쌀밥집에서 먹는 쌀밥보다 쌀밥 공장에서 먹는 쌀밥의 열량이 훨씬 높기 때문입니다.
제가 쌀밥이 쌀밥집에서 먹는 쌀밥보다 쌀밥 공장에서 먹는 쌀밥의 열량이 훨씬 높다고 했다고 해서 흰 쌀밥이 무조건 나쁘다는 것은 아닙니다.
백미가 좋다고는 하지만 백미가 흰 쌀밥을 뜻하지는 않습니다.
그 이유는 백미는 도정할 때 여러 가지 영양소를 제거하고 백미로 만들기 때문에 영양가가 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백미의 영양성분을 그대로 섭취하려면 도정하지 않은 현미로 먹는 것이 훨씬 좋습니다.
2. 백미가 정말 사람에게 좋을까?
현미는 사람에게 좋습니다.
물론 현미가 사람에게 좋은 것은 아니겠지요.
하지만 백미는 사람에게 나쁜 영향을 줍니다.
그 이유는 현미를 먹을 경우 소화가 잘 안된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현미 속에도 소화가 안 되는 성분이 들어가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런 것은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지금은 현미와 백미의 성분이 거의 같으므로 현미를 먹고 소화가 잘 안 된다는 걱정은 하지 않아도 좋을 것입니다.
또한 현미를 먹을 때는 소화가 안 되는 섬유질이 문제가 아니라 소화가 안 되는 탄수화물이 문제가 되므로 이런 섬유질은 빼고 탄수화물만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현미가 아무리 좋다고는 하지만 현미만을 먹을 수는 없는 것이지요.
그러므로 백미도 현미와 함께 먹어야 현미에 있는 좋은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으며 소화에도 좋습니다.
소화가 안되는 것이 걱정이 되면 흰쌀밥을 먹지 마시고 백미와 함께 먹으면 됩니다.
3. 백미의 문제점, 쌀의 소비는 늘어나는데 쌀의 소비는 줄어들고 있다.
이런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쌀 소비량은 하루에 평균 226.4g으로 1980년에 소비된 3백6.8kg에 비해 25밖에 안 되는 수준입니다.
이것은 성인 1일 1인 권장량인 2백 공기 반 정도 밖에 안 되는 양입니다.
그런데 더 놀라운 사실은 이런 쌀 소비량의 감소보다 쌀의 소비가 더 줄어든다는 사실입니다.
우리나라의 쌀 소비는 해마다 줄어들었지만 쌀 소비를 늘리는 데는 별로 도움이 되지 않았습니다.
4. 백미의 문제점, 쌀에는 섬유질과 지방이 부족하다.
쌀의 섬유질과 지방은 쌀의 소화 흡수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5. 현미의 문제점 – 현미의 문제점은 대변량이 적다는 것입니다.
백미는 섬유질과 지방은 적고 영양소는 풍부합니다.
따라서 현미를 먹을 경우 변에 문제가 생깁니다.
현미가 변에 안 좋다는 말은 현미에 섬유질이 부족하지만 현미에는 쌀겨와 쌀눈이라는 영양소가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백미는 쌀겨와 쌀눈이 거의 없지요.
이러한 이유로 백미는 섬유질과 지방이 부족할 수밖에 없습니다.
6. 백미의 문제점 – 백미에는 당분이 많이 있습니다.
백미는 탄수화물이라고 다 같은 탄수화물이 아닙니다.
백미는 소화 흡수가 잘 안되는 탄수화물입니다.
백미의 소화 흡수가 잘 안되는 이유는 백미가 도정할 때 백미 속에 들어있던 여러 가지 영양소가 소화가 잘 안 되는 섬유질과 지방으로 바뀌기 때문입니다.
그 외에도 백미에는 몸에 필요한 비타민과 미네랄이 부족하고 인의 함량이 높아 몸의 균형을 깨뜨릴 수도 있습니다.
백미에는 탄수화물이 많을 뿐만 아니라 지방이 많이 있습니다.
지방은 탄수화물에 비해 칼로리가 매우 높습니다.
쌀 1g의 칼로리는 3kcal 밖에 안 되지만, 백미 1g의 칼로리는 무려 9kcal나 됩니다.
이런 이유로 백미는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에게는 피해야 할 주식이 될 수 있습니다.
현미를 살짝 깎을 때는 미네랄을 어느 정도 섭취할 수 있지만 쌀을 많이 깎을 때는 거의 섭취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 백미는 쌀겨와 쌀눈이 제거된 쌀이고 현미는 쌀겨와 쌀눈이 살아 있는 쌀입니다.
하지만 백미의 경우 쌀겨와 쌀눈이 거의 제거되어 백미와 같은 영양소가 부족합니다.
그러므로 현미에는 백미에 부족한 미네랄과 비타민 등이 어느 정도 들어있고, 백미에는 백미만 먹을 때의 영양이나 필요한 영양소가 들어있습니다.
따라서 현미와 백미는 영양성분이 다릅니다.
영양성분이 다르다는 것은 몸에 필요한 성분이 다르고 몸에 필요한 성분이 다르다는 것을 뜻합니다.
10. 백미의 문제점 – 백미의 문제점은 백미를 만드는 과정에서 제거한 쌀겨와 쌀눈이 백미 속에 남아있기 때문에 백미를 많이 먹을 경우, 백미에 들어있는 섬유질과 미네랄 등을 소화 흡수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또한 백미에는 비타민 B1을 비롯하여 칼슘, 철분, 인, 니아신, 티아민 등의 성분이 부족합니다.
따라서 잡곡으로 먹는 것이 영양적으로 더 좋습니다.
이것은 현미에 들어있는 피틴산이 현미를 도정할 때 잘 벗겨지지 않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그래서 현미를 먹을 경우 꼭꼭 씹어서 먹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현상은 완전히 개선될 것이며 현미가 불편한 느낌이 있다는 것은 현미가 완전히 익은 후에는 거의 느끼지 못할 것입니다.
또한 피틴산이 남아있으면 다른 중금속이나 인체의 유해물질과 결합하여 인체에 해로운 물질을 만들어 내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13. 백미의 문제점 – 백미의 경우 소화 흡수가 잘 안되어 변으로 배설될 때 남아있는 쌀의 양이 적을 수밖에 없습니다.
예를 들어 백미 10kg을 먹으면 백미에 남아있는 쌀의 양은 10.5kg이 됩니다.
<경고사항>
이 글은 전문가가 아닌 블로거 개인이 작성한 글이므로,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필자는 글의 내용으로 인한 모든 피해에 대해 책임지지 않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필요한 경우 반드시 전문가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