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비나 설사가 있는 사람이 보리밥을 먹으면 설사가 멈추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변비나 설사가 있는 사람이 보리밥을 먹으면 설사가 멈추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변비나 설사가 있는 사람이 보리밥을 먹으면 설사가 멈추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이번에는 학계에서 입모아 칭찬하는 보리밥의 신비한 효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로 보면 쌀밥은 소화가 천천히 되고, 보리밥은 소화가 빨리 되며, 보리 속에 함유된 비타민 B1이 몸속에 흡수되면 혈액이 산성으로 되기 때문에 쌀밥을 먹고 나서 보리차를 마시면 소화가 빨리 되고, 신진대사가 원활하게 되며, 몸에 피로 물질이 쌓이지 않게 되고, 땀이 잘 흐르게 됩니다.

보리를 넣어 밥을 해서 지어 먹으면 우리의 몸이 건강해지는 것은 물론 삶이 활력을 얻게 됩니다.


보리 속에 함유된 섬유소가 이런 기능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보리밥을 꾸준히 먹으면 이런 장점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고, 그래서 비만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보리에는 수용성 식이섬유가 들어 있어 밀이나 콩보다 훨씬 많은 양의 식이섬유가 들어 있습니다.

보리를 먹으면 탄수화물 중독증세를 없애주며, 대장을 이롭게 하니 방귀가 잘 나오게 됩니다.
보리밥을 오래 먹으면 방귀가 많이 나오는데, 이것은 보리 속의 자우보로스라는 물질이 소장에서 분비되는 질소성분의 양을 증가시켜 장의 연동운동을 활발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방귀가 많이 나온다는 것은 장 속에 가스가 많이 찼다는 증거입니다.

보리밥을 먹으면 소화가 잘 되는 것은 소화가 빨리 되기 때문이며, 장작에 불이 잘 붙는 것처럼 몸속에서도 열을 잘 발산하게 됩니다.

보리밥의 주성분도 탄수화물이고 열량이 높습니다.


높은 열량을 가진 보리밥이 몸속에 축적된 지방을 없애 줍니다.

보리에 들어 있는 식이섬유는 장을 깨끗하게 청소해 주는 청소부 역할을 합니다.
식이섬유가 대장운동을 활발하게 하기 때문에 변비를 없애고 장 속에서 음식물이 발효되고 썩는 것을 도와줍니다.

보리에는 섬유질이 19퍼센트나 들어 있는데, 이는 보리를 흰쌀이나 곡류와 비교하면 4배에서 9배까지 많습니다.
보리밥을 꾸준히 먹으면 변비가 없어지고 장이 깨끗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으며, 전반적인 장의 기능이 원활해져서 숙변 제거와 체지방 제거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비만체질인 경우에 보리에 함유된 비타민 B1이 체지방 축적을 막고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보리밥을 지을 때는 쌀에 보리를 섞어서 짓는 것이 좋으며, 일반 쌀밥보다도 4배나 더 큰 식이섬유가 들어 있습니다.

특히 장기능을 활성화시키고 다이어트 효과를 높이는 것이 보리밥의 특징입니다.


보리에는 소화효소가 많이 들어 있습니다.

녹말은 몸에 쉽게 흡수되지만 먹고 나서 조금만 시간이 지나도 흡수된 것이 없어집니다.

보리를 먹으면 맥아당 흡수를 억제하고 소화가 천천히 되기 때문에 맥아가 항상 부담 없이 먹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쌀밥을 주식으로 먹으면 전분이 소화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리지만 보리밥은 바로 흡수되므로 소화가 빨리 됩니다.
보리는 사람의 몸 속에 쌓인 열을 내리고 열을 내리게 하는 작용을 합니다.

보리는 알칼리성이기 때문에 밀가루나 쌀보다 빵을 만들 때 사용하면 더욱 좋습니다.
지금까지 보리밥의 효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보리밥은 밥상의 보약입니다.


쌀과 함께 주식으로 하는 곡물 중 가장 건강에 좋은 식품입니다.

보리는 쌀보다 부드러우며 소화가 빨리 되고, 현미는 오래 되면 부서지지 않지만, 보릿가루는 오래되면 가루가 되어 나오지 않습니다.
보리 가루는 곡식의 겨와 같은 섬유질을 없애고 소화를 빨리 되게 합니다.

보리밥을 먹으면 방귀가 잘 나온다고 하는데, 이 말은 보릿가루와 쌀겨, 미강 등을 먹지 않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이런 성분이 없었다면 방귀가 나오지 않을 것입니다.

변비나 설사가 있는 사람이 보리밥을 먹으면 설사가 멈추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보리밥은 쌀밥보다도 칼로리가 적습니다.

보리에는 비타민B2가 약 1.3배 가량 들어 있는데, 비타민B2는 소화기능을 좋게 하고, 피로를 해소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보리밥에 비타민B2를 넣어서 먹으면 쌀밥과의 상승효과로 보다 소화가 잘 되고 영양이 풍부하게 섭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건강에 더욱 좋습니다.

보리밥을 먹으면 방귀가 많이 나오는 것은 보리 속에 들어 있는 섬유소가 장 속에서 분해되는 가스가 장 속에 있는 좋은 박테리아에 의해 발효되어 가스가 되기 때문입니다.
보리에는 섬유소가 19%로 밀보다도 훨씬 많습니다.

이는 보리 속에 들어 있는 식이섬유의 작용입니다.
그러나 보리밥이 변비를 없애 주는 것은 보리 속에 들어 있는 식이섬유나 여러 성분들이 변비를 낫게 하는 작용을 하기도 있는 반면 보리에 들어 있는 식이섬유는 변비를 없애 주지는 못합니다.

그러나 보리밥의 가장 좋은 점은 쌀밥을 지을 때는 쌀의 전분을 주로 사용하지만 보리밥을 지을 때는 보리의 전분을 주로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보리는 장운동을 보다 원활하게 하고 소화를 빠르게 하며, 장 속의 좋은 박테리아를 늘려 주며, 장 속을 깨끗하게 하여 장 속에서 발효가 잘 될 수 있도록 도와 주므로 정장작용에 탁월한 효과가 있습니다.

보리를 이용해 고기를 만드는 방법을 소개 합니다.
고기를 만들 때 보리를 넣어서 만들면 구수한 맛이 좋고, 고기가 연해 질 뿐 아니라 고기 특유의 나쁜 냄새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경고사항>
이 글은 전문가가 아닌 블로거 개인이 작성한 글이므로,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필자는 글의 내용으로 인한 모든 피해에 대해 책임지지 않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필요한 경우 반드시 전문가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