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밥은 쌀밥에 비해 소화가 잘 되지 않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외국 학계에서 말하는 보리밥의 신비한 효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보리를 주식으로 먹으면 굶주린 배가 불러질 만큼 영양이 풍부하고, 쌀과 섞어 먹으면 혼분도 아닌 것이 영양이 골고루 들어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보리밥을 많이 먹으면 식곤증이 오는 지도 모르겠다고 합니다.
보리를 먹으면 몸이 더워지고 가벼워지며, 식곤증은 사라지고, 몸에 열이 나게 되어 추위에 잘 견딜 수 있는 체질로 바뀌는 데도 보리의 효능이 작용을 합니다.
옛날에는 보리가 귀한 것이 아니라 가난한 사람들이 먹을 수 있는 풀이 많지 않은 어느 때에는 한 끼를 먹는 것이 보리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보리밥을 먹을 때는 쌀에다 보리를 섞어서 먹지만, 쌀만 먹고 보리를 먹지 않게 되면 보리밥이 몸에 좋지 않다고 합니다.
그래서 보리밥을 많이 먹으면 몸이 차게 되거나, 보리밥에 물을 말아서 먹으면 설사를 할 정도로 보리에는 소화가 잘 되지 않는 성분이 있어서 몸속에 들어가면 소화가 잘 되지 않습니다.
쌀에다가 보리를 섞어서 먹으면 쌀과 보리가 소화가 잘 되어 몸이 따뜻해지고 손발이 따뜻해집니다.
보리밥을 먹는 것이 쌀만 먹는 것보다 더 좋다고 하는 것입니다.
옛날부터 우리나라에서는 보리를 많이 먹었습니다.
보리밥을 먹으면 소화가 잘 되지 않는데, 그것은 보리가 소화가 잘 되는 성분이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보리 속에는 어떤 성분이 들어 있어서 소화가 잘 되는지는 잘 모릅니다.
그러나 보리가 소화가 잘 되는 성분이 들어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보리에는 탄수화물이 많이 들어 있는데, 탄수화물은 보리 속에 들어 있는 가장 중요한 성분입니다.
보리밥을 먹으면 소화가 잘 되지 않고 소화가 안 된 상태에서 다른 음식을 먹으면 소화가 잘 되지 않고 몸의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보리밥은 쌀밥에 비해 소화가 잘 되지 않는 것이 사실입니다.
보리밥을 먹으면 소화가 잘 된다고 하는 것은 소화가 잘 되기 때문일 뿐만 아니라 위를 비롯한 장에도 좋고, 변비를 없애기 때문에 소화가 잘 됩니다.
쌀만 먹고 보리를 먹지 못하는 사람들도 쌀만으로는 살을 빼기가 어렵습니다.
현미는 벼의 껍질만을 벗겨낸 것이기 때문에 백미보다도 더 소화가 잘 되는 것이 사실입니다.
쌀에는 쌀눈이 들어 있지만 현미에는 쌀눈이 없습니다.
쌀눈이 있는 것이 더 좋은 것이지만, 쌀눈이 있는 것이 좋지 않다고 하는 것은 쌀눈에 영양이 더 많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영양을 고르게 섭취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보리밥에 들어 있는 영양은 쌀에 들어 있는 영양보다 훨씬 더 우수한 것이므로 보리밥을 먹으면 살이 찐다고 하는 것은 사실일 뿐만 아니라 이치에도 맞는 말입니다.
보리밥을 많이 먹으면 소화가 잘 되지 않고 변비가 생긴다는 것은 보리밥에 섬유질이 지나치게 많이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섬유질은 소화가 잘 되지 않는 성분입니다.
쌀 속에 들어 있는 영양은 쌀을 꼭꼭 씹을 때 비로소 소화가 될 뿐만 아니라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소화시킬 때에도 쌀보다는 소화가 잘 됩니다.
요즘 사람들이 소화가 잘 되지 않는다고 하는 것은 이런 이치를 모르기 때문입니다.
쌀을 아무리 꼭꼭 씹어도 쌀보다는 소화가 잘 되지 않습니다.
밥을 할 때 물을 넉넉하게 붓고 보리밥을 하면 소화가 더 잘 됩니다.
물을 적게 부으면 보리밥이 맛이 없습니다.
보리는 쌀보다 더 딱딱한 곡식입니다.
쌀은 부드러운 흙속에서 자란 쌀이고, 보리는 딱딱한 흙속에서 자란 보리입니다.
쌀은 보리와 비교가 되지 않게 딱딱한 쌀입니다.
쌀에는 소화가 되지 않는 성분이 들어 있습니다.
쌀 속에는 영양소가 많이 들어 있으나 쌀을 아무리 씹어도 밥을 먹고 100번을 씹지 않으면 영양분이 흡수되지 않습니다.
쌀의 세포 속에는 영양소가 소화가 잘 되지 않습니다.
쌀을 먹을 때에도 보리와 함께 먹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 조상들은 옛날에 보리밥에 김치와 간장을 함께 먹는 것은 아주 좋은 식습관이라고 하였습니다.
쌀밥을 먹을 때에도 보리와 함께 먹는 것이 좋습니다.
보리 속에는 소화가 잘 되지 않는 성분이 들어 있으므로 소화가 잘 되지 않는 성분이 들어 있는 보리밥을 먹으면 소화가 잘 되지 않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쌀을 주식으로 하는 사람들은 소화가 잘 되지 않는 것을 경험할 때가 많습니다.
보리쌀을 먹으면 설사가 나는 것이 큰 결함입니다.
<경고사항>
이 글은 전문가가 아닌 블로거 개인이 작성한 글이므로,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필자는 글의 내용으로 인한 모든 피해에 대해 책임지지 않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필요한 경우 반드시 전문가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