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비요에서 말하는 더덕과 백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본초비요에서 말하는 더덕과 백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본초비요에서 말하는 더덕과 백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외국 전문가들이 입모아 칭찬하는 더덕의 충격적인 효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향과 맛이 좋아 참나물과 함께 쌈채로 쓰이는 산채중의 하나이며, 최근에는 건강을 위해 다양한 효능을 지닌 웰빙식품으로 토종건강식품으로 새롭게 조명 받고 있습니다.

더덕은 대개 지역에서 재배되는데, 기후에 따라 원산지가 다른 여러 종류의 더덕들이 생기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더덕의 뿌리는 요리에 쓰이고, 향기가 좋은 것이 가장 좋습니다.

그러나 더덕의 잎, 줄기, 꽃, 열매 등도 약용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1) 더덕의 효능 ▶ 폐열을 없애고 진해거담작용이 있는 더덕 더덕은 폐열을 없애고 진해거담작용이 있는 약재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발열과 기침을 멈추게 하는 성분인 사포닌과 물에 녹는 성분인 비누 당류(pullucide saponins)가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거담작용, 진해작용, 혈중콜레스테롤 감소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서 건강식품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그리고 폐열을 없애고 진해거담작용이 있어 더덕이 인삼만큼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더덕은 얼치기풀이라고도 합니다.
산에서 자란다.


뿌리는 도라지처럼 굵고 식물체를 자르면 흰색의 즙액(汁液)이 나온다.
줄기는 곧으며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짧은 잎자루가 있으며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의 바소꼴이다.

잎 양면에 주름이 있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7∼8월에 피고 흰색이며 긴 산형꽃차례로 줄기 끝에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화관은 작고 꽃받침조각은 5개이며 5개의 꽃잎은 넓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다.

열매는 달걀 모양이고 능선이 있으며 10월에 익고 5과(果)로 갈라져 종자가 나오고, 종자는 둥글다.
4, 유뇨(遺尿症: 폐음(肺陰)이 허(虛)하여 진음(眞陰)이 제자리에 돌아오지 못하는 증상) 더덕 19g,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9, 소변이 나오지 않는 증상 더덕을 1회에 2.0g을 물 5되로 달여서 복용하며.
술을 빚어서 복용해도 좋다.

12, 뱃속과 가슴의 모든 창증(瘡症) 더덕을 달여서 그 물을 계속 복용한다.

13, 더덕, 도라지, 가지 볶음 4:1:1의 비율로 섞어서 함께 도자기에 담아 취해서 볶는다.
아침에 2홉을 끓인 차와 함께 복용한다.

산더덕 뿌리의 성분은 사포닌으로 인삼과 비슷하다.
식용, 약용으로 이용된다.

산더덕의 뿌리에는 아눌린, 점액질, 단백질, 당질, 지질, 무기질, 비타민 등의 성분이 들어 있다.


더덕 100g에는 비타민 A가 4.5IU 있고, 칼슘, 인, 칼륨, 비타민 B, 단백질, 지질 등도 풍부하다.

특히 단백질, 당질이 주성분이며, 비타민 B, C도 많다.
더덕은 칼슘, 인, 철분 등 무기질이 풍부한 알카리성 식품으로 주요성분으로는 수분, 단백질, 지방, 당질, 섬유질, 무기질, 비타민 등이다.

알싸한 맛을 내는 사포닌이 위와 장의 점막을 자극, 분비를 촉진시켜 정장작용을 하며, 또한 콜레스테롤을 낮쳐주어 혈압을 내리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본초비요에서 말하는 더덕과 백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더덕* 1. 본초문헌에 나오는 더덕의 효능 더덕은 위를 보하고 폐기를 보하며 산기를 다스리고 고름과 종기를 없애고 오장의 풍기를 고르게 한다.

이러한 증상을 다스리는데는 뿌리가 희고 실한 것이 좋다.
본경(本經)에는 (陽明論)에 처음으로 기록되었는데, 기(氣)를 보하는 것에서 으뜸이라고 하였다.


2. 민간에의 적용 가.

또 더덕에 인삼과 같은 사포닌성분이 들어있어 위를 보하고, 산삼의 경우 위를 튼튼히 하는 건위제의 역할로 더덕을 삼국시대 때부터 널리 식용해 왔다고 한다.

그러나 체질이 진하고, 위의 소화흡수가 떨어지는 사람은 건위제의 복용으로 보조하는 것이 좋다.
예전에는 더덕을 먹으면, 흰머리가 없어진다고 할 정도로 건위에 좋아 더덕을 이용한 요리법이 많았다.

백삼은 더덕과 마찬가지로 쓴맛을 갖고 있으며, 한방에서 사용되고 있는 뿌리는 인삼의 약효성분인 사포닌이다.
인삼만큼 약효가 뛰어나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 천삼(天蔘)이다.

뿌리의 주성분은 사포닌으로 생약의 중요한 성분중의 하나이다.

<경고사항>
이 글은 전문가가 아닌 블로거 개인이 작성한 글이므로,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필자는 글의 내용으로 인한 모든 피해에 대해 책임지지 않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필요한 경우 반드시 전문가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