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대떡이 완성되면 썰어서 접시에 담아 초간장을 곁들인다
한방에서는 갈증이 많이 나는 번열증, 소변을 자주 보는 소갈증, 부스럼과 종기가 잘 생기는 오치풍종, 황달 등에 녹두를 사용한다.
원기를 보강하는 비타민B1이 풍부해 춘곤증 예방에 좋다.
담배의 니코틴 독을 풀어준다.
독충이에 물렸을 때 날것을 갈아 물린 곳에 붙이면 좋다.
여름을 타는 증세와 식욕부진을 보완한다.
재료: 숙주나물 100g, 녹두가루 2큰술, 설탕, 소금 조금, 실파 1⁄2뿌리, 식용유 1큰술, 부침가루 3큰술, 달걀 1개 조리법 1.숙주나물과 녹두는 잘 씻은 후 거품이 나오지 않을 때까지 찬물에 헹구어 준다.
2.녹두와 소금을 녹두 양의 3배 정도 넣고 물을 부어 가며 간다.
녹두가 뭉근해지면 물을 조금 넣고 소금으로 간한다.
3. 반죽을 한 입 크기로 잘라 둥글게 만든 것을 살짝 데친 쑥으로 가장자리를 붙여 부침개를 만든다.
4. 데친 쑥을 기름을 두른 팬에 놓고 한쪽 끝에서 뒤집어 익힌다.
5. 빈대떡 고유의 색을 내기 위해 붉은 고추와 쑥을 이용하여 한쪽 끝은 둥글게 하고 다른 한쪽 끝은 뾰족하게 한다.
6. 쑥은 씻어 물기를 턴 후 소금을 약간 넣고 가볍게 섞는다.
숙주는 소금물에 데친 후 찬물에 헹구어 물기를 빼놓는다.
7. 숙주에 반죽을 묻혀 기름을 두른 팬에 노릇하게 지져 상에 낸다.
2. 강력분, 박력분을 섞어 반죽하면 끈기가 떨어진다.
발효를 시켜야 반죽이 잘된다.
3. 팬에 기름을 살짝만 바른 후 키친타올을 충분히 깔고 반죽을 숟가락으로 떠서 팬에 올린다.
중약불로 줄여 뚜껑을 덮고 속까지 익힌다.
반죽의 공기가 빠져야 된다.
뚜껑을 덮고 익히면 빈대떡이 더 바삭바삭 해진다.
4. 기름이 넉넉해야 바삭하고 고소하다(약 170도로).
기름이 많으면 눅눅해진다.
센 불에서 빨리 익혀준다.
5. 너무 센 불에서 익히면 겉만 타고 속은 익지 않으므로 중간 불 정도에서 익히는 것이 좋다.
뚜껑이 있으면 뚜껑을 덮고 익히면 더 잘 익는다.
6. 밑면을 둥글게 썰면 기름을 많이 흡수하지 않고, 넓게 썰면 밑변이 딱딱해 지지 않는다.
5번을 모두 익힐 수 있는 양은 2장 정도가 적당하다.
빈대떡을 맛있게 만드는 비법 – 8번 ‘새싹 빈대떡’ 만드는 법 새싹을 이용하여 빈대떡을 구워 보자.
1. 반죽용 통밀을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2. 반죽에 사용하는 물은 항상 깨끗한 것을 사용한다.
3. 새싹을 물에 담갔다가 건져서 깨끗이 씻어 물기를 빼놓는다.
4. 녹두에 조미료, 설탕, 소금을 분량대로 넣고 반죽을 하여 냉장고에 20시간 정도 넣어둔다.
5. 녹두에 반죽이 베어나오면 뒤집개로 눌러 넓게 편 후 다시 눌러 펴서 두께 2cm 정도가 되게 한다.
6. 배추김치, 숙주나물, 새싹을 얹어 부친 후 고추장을 얹는다.
이것이 새싹을 이용한 8번째 방법이다.
6번은 새싹의 잎을 잘라 씻은 후 배추김치와 같이 반죽에 섞으면 좋다.
7. 빈대떡이 완성되면 썰어서 접시에 담아 초간장을 곁들인다.
6. ‘새싹 빈대떡’ 만드는 법 – 9번 ‘김치 녹두전’ 만드는 법 1. 녹두를 물에 담갔다가 건져 놓는다.
2. 숙주는 깨끗이 씻어 소금물에 데친 후 찬물에 헹구어 놓는다.
3. 김치는 소를 대충 털어내고 송송 썰어 다지고, 절인 숙주는 씻어 건져 물기를 빼놓는다.
4. 김치와 숙주, 녹두를 잘 섞어 소금, 마늘, 고춧가루, 파를 넣어 양념을 만든다.
7. 김치를 참기름과 설탕에 무친다.
8. ‘새싹 녹두 빈대떡’ 만드는 법 -10번 ‘쑥 감자빈대떡’ 만드는 법 1. 쑥을 여러번 씻어 다듬어 소금을 넣고 끓는 물에 살짝 데쳐 찬물에 헹구어 물기를 빼놓는다.
2. 감자는 껍질을 벗겨 씻어놓는다.
3. 쑥과 감자를 함께 섞어 소금으로 간을 한 후 반죽을 한다.
4. 후라이팬에 기름을 넉넉히 두른 후 반죽을 직경 5cm 정도의 크기로 동글납작하게 만들어 놓는다.
5. 뒤집개로 눌러서 익힌다.
6. 뒤집개로 눌러놓은 반죽이 떨어지지 않으면 뒤집어 준다.
7. 감자에 쑥과 감자가 잘 달라붙도록 뒤집어 준 후 뒤집개로 눌러 준다.
11. 완성된 쑥 감자빈대떡을 1cm 정도의 크기로 썰어 접시에 담아 초간장을 곁들인다.
11. ‘쑥 감자빈대떡’ 만드는 법 – 11번 ‘김치 감자전’ 만드는 법 1. 김치를 먹기 좋은 크기로 썰어 참기름과 설탕을 넣어 무친다.
3. 김치, 감자, 전분가루를 넣어 소금으로 간을 맞춘다.
9. 초간장을 곁들인다.
3. 데친 쑥에 감자를 섞는다.
4. 후라이팬에 기름을 넉넉히 두르고 반죽을 얇게 펴서 김치와 녹두 반죽으로 한 수저씩 떠서 노릇하게 지져 낸다.
2. 데친 쑥에 다진 마늘, 다진 파, 소금, 설탕, 식초를 넣어 무친다.
3. 쑥에 밀가루를 조금씩 넣고 반죽을 하여 기름을 두른 팬에 한 숟가락씩 떠놓는다.
4. 호박은 채썰어 소금에 살짝 절인다.
6. 배추김치는 속을 털어내고 송송 썰어 국물을 꼭 짠 후 참기름과 설탕에 무친다.
7. 양념한 배추김치로 버무리를 하여 접시에 보기 좋게 담는다.
8. 쑥 버무리를 그릇에 담고 위에 고추장과 통깨를 얹어 낸다.
<경고사항>
이 글은 전문가가 아닌 블로거 개인이 작성한 글이므로,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필자는 글의 내용으로 인한 모든 피해에 대해 책임지지 않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필요한 경우 반드시 전문가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