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 내장탕에 소금을 넣지 않는 이유?
이번 시간에는 해외에서 난리 난 내장탕의 충격적인 효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내장탕?
소내장탕?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돼지국밥은 순댓국이고 소내장탕은 순댓국에 소내장을 추가한 것인데, 소내장탕에 순대가 없는데 순댓국처럼 빨간 국물이 나오는 이유는 무엇인가?
바로 소내장탕에는 소의 부산물인 소창을 쓴다네요~ 소창?
소창은 소창지기의 줄임말로, 소창의 영어명은 cow spleen인데, 우리나라에서는 소창지기의 줄임말로 소창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습니다.
소창은 전통적으로 내장탕이라고 하며, 내장탕은 내장이 주재료인 순댓국이고, 소창은 내장이 주재료인 순댓국에 소창이 더해진 것입니다.
소창을 사용하는 식당의 내장탕의 맛은 더 진하고 감칠맛이 납니다.
소 내장탕에 순대가 없는데 순대가 있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소창에 든 순대소 때문인데 순대소에는 소창에는 없는 젤라틴이라는 성분이 많아서 순대를 만들기에 적합하기 때문에 국밥에 넣으면 순대처럼 보이는 것이죠.
그런데 이 젤라틴이라는 성분이 우리 몸에 얼마나 안 좋은지 아시나요?
그런데 젤라틴을 분해하는 효소는 아주 극소량이며, 젤라틴이 있는 위장 내에서는 젤라틴이 분해되어 젤라틴을 흡수할 수 없어서 젤라틴으로 인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합니다.
젤라틴이 우리 몸에서 흡수되면 흡수가 더 잘 되는 식물성 단백질인 콜라겐을 먹으라는데, 그 콜라겐 또한 젤라틴과 마찬가지로 먹고 나면 젤라틴이 몸에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콜라겐을 먹으라고 할 게 아니라 젤라틴을 없애야 합니다.
소내장을 순댓국에 넣고 끓이면 안되는 이유 내장은 소의 부산물이라서 소장의 영양분을 대부분 소장이 흡수를 하는데, 그러면 소내장에 들어있는 영양분을 흡수하기 위해 소장의 흡수율이 너무 높아지기 때문에 소내장을 넣고 끓이면 소내장을 흡수할 수 없어 소내장에 든 영양소의 흡수 감소를 초래합니다.
또한 젤라틴 성분이 소내장에 많이 들어있는데, 젤라틴이 들어있는 소내장을 끓이지 않고 소내장에 들어있는 젤라틴 성분을 그대로 먹으면 젤라틴 성분이 몸에 계속 남아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소화기관에 무리가 갈 수 있습니다.
소내장탕은 순댓국?
소내장을 넣고 끓이는 소내장탕은 순댓국이라고도 하는데, 순댓국은 순대와 돼지뼈로 국물을 만든다고 하니 소내장탕과 소내장탕 중 어느 것이 순댓국의 원조인가에 대해 논쟁이 있지만, 어느 것이 원조라고 할 근거가 없다고 합니다.
순대국밥이나 돼지국밥에 돼지머리가 들어가는 것은 돼지를 뜻하는 ‘돈’과 내장이라는 뜻인 ‘국’을 합쳐 ‘돈국’이라고 불렀는데, ‘돈’을 순우리말로 ‘도야지’라고 하는데, 돈을 국이라고도 불렀기 때문에 순댓국도 돈국이라고 부른 것이고, 소내장을 넣고 끓이는 소내장탕도 순대국밥이라고 부르게 된 것이지요.
즉 모든 순대국밥집은 소내장탕과 같은 개념이고, 순댓국집은 소내장탕과 같은 개념입니다.
소 내장탕에 소창이 들어가는데, 소창을 오래 끓이면 소창이 분해돼 젤라틴으로 분해되는데, 소창이 오래 끓이면 젤라틴으로 분해돼 젤라틴 성분이 소내장에 많이 들어가서 소내장을 오래 끓이면 젤라틴 성분이 많이 들어있는데, 소내장을 오래 끓이면 젤라틴이 녹아 나오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소 내장탕에 소창이 들어가는데, 소창을 오래 끓이면 소창이 젤라틴으로 분해되어 젤라틴 성분이 소 내장에 많이 들어가서 소 내장을 오래 끓이면 젤라틴 성분이 많이 들어있는데, 소 내장을 오래 끓이면 젤라틴이 녹아 나오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소 내장탕에 소금을 넣지 않는 이유?
소 내장에는 나트륨이 많아서 국물을 많이 먹으면 나트륨의 섭취가 늘어나는데, 우리 몸의 체액 속에도 나트륨이 많은데 우리 몸의 체액에는 나트륨이 많으니 음식을 짜게 먹으면 나트륨의 섭취가 늘어나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런데 소 내장탕에 소금을 넣지 않는 이유는 소금이 부족한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소 내장탕에 소금을 넣지 말라고 하면 소 내장탕을 먹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소금에는 나트륨 성분만 있는 게 아니라 염소 성분도 들어있어 소금물을 마시면 몸에 해가 되며, 소금물을 마시면 몸이 건조해져서 좋을 것도 없다고 합니다.
소 내장탕에 소금을 넣어야 하는 이유는 소금을 먹어야 우리 몸이 건강해지기 때문입니다.
내장탕의 간을 소금으로 해야 하는 이유?
소 내장에 간 외에도 위, 곱창, 허파, 염통, 간 등 다양한 부위가 있는데, 소 내장에 들어있는 간 이외의 부위는 간이 좋은 우리 몸에는 필요 없는 부위입니다.
소 내장탕에 소창이 들어가는데, 소창이 왜 몸에 좋은가?
소 내장에는 간과 위 외에도 다양한 부위가 들어있는데, 간과 위 등을 제외하고 간과 위에만 영양과 기능이 있다고 합니다.
우리가 간과 위를 건강하게 관리하는 이유는 간과 위가 건강해야 나머지 부위도 건강하기 때문입니다.
<경고사항>
이 글은 전문가가 아닌 블로거 개인이 작성한 글이므로,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필자는 글의 내용으로 인한 모든 피해에 대해 책임지지 않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필요한 경우 반드시 전문가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