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어 껍질에는 ‘콘트로이틴’이란 물질이 있어 피부미용에 좋다
숭어가 왜 좋은가?
숭어는 봄이 제철이다.
지금은 철지난 계절이지만 지금부터 초봄까지 맛이 가장 좋은 시기이다.
숭어가 산란을 하면 살이 빠져 기름이 다 빠져서 오히려 맛이 떨어진다.
산란철이 지난 5월 중순부터 초여름까지는 숭어가 제일 맛이 좋은 시기이다.
또 산란을 하면서 알을 낳을 때 생긴 스트레스를 소화시키고 알을 부화하려고 영양분을 지방으로 축적한다.
그래서 5월 중순인 산란철부터 6월말까지 최고의 맛을 즐길 수 있다.
그리고 산란하기 직전에 알을 낳더라도 지금은 산란하러 바다에 나가있으니 산란철이 지난 시기라도 알배기숭어는 회로는 먹을 수가 없다.
숭어의 맛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바로 지방이기 때문에 알배기숭어는 회로는 먹을 수가 없다.
숭어는 맛도 좋지만, 몸에도 좋은 생선이다.
우리가 숭어를 ‘회’로 먹는 가장 큰 이유는 숭어에는 잔가시가 없기 때문이다.
숭어의 껍질에는 피부미용에 좋은 ‘나이아신’과 혈액순환에 좋은 ‘불포화지방산’이 많이 함유돼 있다.
그러나 숭어 껍질에는 ‘콘트로이틴’이란 물질이 있어 피부미용에 좋다.
산란철을 앞둔 숭어들은 몸에 살이 통통하게 올라 맛이 있는데 산란을 앞둔 숭어는 몸이 허해져 입맛을 잃기 때문에 산란철이 지난 5월 중순부터 6월말까지 최고의 맛을 즐길 수 있다.
숭어를 먹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탕으로 끓여먹는 것이다.
숭어는 알을 낳기 위해 바닷가에서 돌틈으로 숨어들어가는 습성을 갖고 있다.
양식산이 자연산보다 맛과 영양이 좋다는 편견이 있지만, 숭어는 양식도 자연산만큼 맛이 있다.
숭어는 맛도 좋고, 단백질 함량도 높다.
단백질은 회와 탕으로 먹을때는 껍질에 많은만큼 껍질째 먹어야 한다.
숭어는 열량은 그리 높지 않지만, 단백질 함량이 높아 같은 무게의 광어, 도다리보다 단백질 함량은 두 배나 높다.
숭어는 또 타우린과 베타인 성분이 많아 피로회복과 간기능 개선에 좋다.
숭어를 고를때는 알이 배에 주렁주렁 붙어 있는 것이 좋다.
숭어는 살이 부드럽고 감칠맛이 있어 회로 먹으면 맛있지만, 숭어는 껍질에 영양소가 많이 함유돼 있어 껍질째 먹어야 한다.
숭어와 궁합이 잘 맞는 음식은 쑥떡이다.
쑥떡에는 ‘알긴산’이란 성분이 풍부하다.
이 성분은 숭어껍질에 많은 성분이다.
알긴산은 변비에 좋아 대장을 청소하고, 간기능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숭어는 또 미나리와 궁합이 맞으므로 미나리를 숭어회에 곁들려 먹으면 좋다.
숭어는 특히 기름이 많아 맛이 고소하다.
숭어는 회와 탕으로 먹을때는 껍질에 많은만큼 껍질째 먹어야 한다.
숭어는 보통 회로 먹지만, 요즘은 남은 살을 이용해 소금에 주물러 전으로 먹는게 별미로 꼽힌다.
숭어는 살이 통통하게 올라 5월 중순에서 6월초가 제철이다.
숭어는 살 자체가 매우 연하기 때문에 살을 통체로 이용해도 무방하다.
숭어는 보통 회로 먹지만, 숭어 알을 밴 숭어를 탕으로 끓여 먹거나 회를 뜰때 알을 터뜨려 탕으로 끓여 먹으면 최고로 맛있다.
알배기숭어탕을 끓일때에는 무를 반드시 넣어야 한다.
무를 넣으면 무의 구수한 맛과 무의 비타민C가 탕에 녹아 들어간다.
탕으로 끓이면 감칠맛을 더한다.
숭어회를 먹을때는 껍질을 제거하지 말고, 숭어탕을 끓일때는 숭어껍질을 제거해야 무의 구수한 맛과 무의 비타민C가 탕에 녹아 들어간다.
탕으로 끓여 먹을때는 껍질을 제거하지 말고, 숭어탕을 끓일때는 숭어껍질을 제거해야 무의 구수한 맛과 무의 비타민C가 탕에 녹아 들어간다.
<경고사항>
이 글은 전문가가 아닌 블로거 개인이 작성한 글이므로,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필자는 글의 내용으로 인한 모든 피해에 대해 책임지지 않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필요한 경우 반드시 전문가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