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특성을 이용해서 감의 떫은맛을 붙인 것이 단감입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해서 감의 떫은맛을 붙인 것이 단감입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해서 감의 떫은맛을 붙인 것이 단감입니다

● 단감의 효능 ● 감의 주성분은 당질, 비타민, 수분으로 과당이 대부분이며 포도당과 과당의 함유량이 많아 달고, 신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감 잎에는 카로틴과 비타민C, 식이섬유, 탄닌, 칼륨, 마그네슘, 칼슘 등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 단감의 신비한 작용 ● 감을 잘랐을 때 떫은맛이 나는 것은 단감 속에 섞여 있는 탄닌 성분 때문입니다.


감이 산화되면서 탄닌성분이 농축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단감 속에는 탄닌성분 이외에 다양한 효능을 지닌 페놀성분과 플라보노이드가 들어있다고 합니다.
● 단감의 신비한 작용 ● 탄닌: 감에 포함된 떫은맛을 내는 성분인 탄닌은 체내에서 점막표면의 조직을 수축시켜 설사를 멎게 해줍니다.

즉 떫은 감 1개에는 10-15mg 정도의 탄닌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떫은 감의 껍질을 벗기기가 쉽지 않으므로 단감즙에 떫은맛을 내는 탄닌 성분을 첨가하는 것입니다.

단감 속에 함유되어 있는 타닌은 물에 녹지 않는 불용성 타닌입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해서 감의 떫은맛을 붙인 것이 단감입니다.

감 표면에 붉은 색이나 갈색, 검은색이 나타나면 이미 타닌이 들어있다는 증거입니다.


감 타닌은 수용성으로 물에 잘 녹기 때문에 감을 먹을 때에는 물을 마시지 말고 그대로 삼켜서 먹는 것이 좋습니다.

타닌을 과잉섭취하면 변비가 생기기 쉬우므로 변비 예방을 위해 충분히 물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에 많이 들어있는 비타민 A와 비타민C는 피부를 곱게 하므로 주근깨나 설사가 있는 사람에게도 좋은 식품입니다.

변비: 변비를 일으키는 것은 탄닌성분 때문.
감을 먹을 때는 가능하면 타닌이 많이 들어있는 떫은감도 함께 먹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감은 변비를 일으키는 탄닌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감을 먹을 때 변비가 생긴다면 곶감 4개를 물 600cc에 하룻밤 동안 담가두면 됩니다.
그리고 그 물을 마시면 변비를 예방하는데 아주 좋은 효과를 발휘 합니다.

설사: 설사를 할 때에는 곶감을 불에 구워 먹습니다.

곶감을 구웠을 때에 탄닌 성분이 많이 들어 있어서 설사를 멎게 해줍니다.


숙취: 술을 마시기 전에 감을 먹으면 술이 잘 취하지 않습니다.

숙취 예방에도 좋습니다.
변비: 변비가 있는 사람은 감을 먹는 것이 좋습니다.

■ 단감 고르는 법과 보관법 ● 단감 고르는 법 ● 단감의 꼭지부분이 들어가고 껍질에 반점이 없고 끝이 뾰족하지 않은 것이 좋습니다.
● 단감 보관법 ● 단감을 보관할 때는 서늘한 베란다나 서늘한 곳에 보관하면서 1주일에 한번 정도로 봉지를 뜯어주어 감의 습기를 제거해 줍니다.

그러나 감은 변비를 일으키는 탄닌이 많이 들어 있어 감을 먹을 때 변비가 생긴다면 곶감 4개를 물 600cc에 하룻밤 동안 담가두면 됩니다.
단감과 궁합이 잘 맞는 음식은?

감은 콩과 궁합이 잘 맞습니다.


감과 콩의 영양 궁합: 떫은 감에 풍부하게 들어있는 타닌은 철분의 흡수를 방해해 빈혈을 일으키게 할 수 있는데, 철분은 비타민 C와 같이 먹으면 흡수가 더 잘되기 때문에 감과 콩을 같이 먹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 단감에는 감과 같이 아세트알데히드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단감을 먹으면 떫은 맛이 나는 것이 바로 이 때문이다.

● 감을 많이 먹으면 변비가 생긴다고 하는데, 이것은 수용성 타닌이 많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 감을 먹을 때에는 타닌이 많은 것을 먹으면 변비가 생기기 쉬우므로, 반드시 변비 문제가 해결된 후에 먹는 것이 좋다.

감은 콩과 같이 먹으면 좋은데 콩의 사포닌을 벤젠으로 처리해서, 타닌이 대부분 제거되도록 한 것이 문제이다.
● 감과 콩을 같이 먹으면 좋은 이유: 콩에 들어있는 비타민 B1 때문이다.

● 감의 주성분인 당분은 비타민 B의 도움 없이는 에너지화 되지 않는다.
● 감의 주성분인 수분과 비타민 A, C는 단백질과 같이 먹으면 단백질에 영향을 주는 단백질의 과잉을 막아 다이어트에 효과적이다.

♠ 변비에는 떫은 감이 최고 ● 장이 무력해 식물설사가 자주 나면 굶는다.는 말이 있다.
이 말은 식물성 섬유질이 풍부한 과일이나 야채를 먹으려 하지 않고, 섬유질이 없어 소화시키지 못하는 사람에게 이 말이 맞습니다.

<경고사항>
이 글은 전문가가 아닌 블로거 개인이 작성한 글이므로,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필자는 글의 내용으로 인한 모든 피해에 대해 책임지지 않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필요한 경우 반드시 전문가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