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조림의 장점 1) 육류 자체에는 맛이 담백하며 질이 매우 좋다
이 글을 읽는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장조림의 역사 쇠고기 장조림의 역사는 최소한 100여년이 넘는다.
1800년대 말기에 쓰여졌다는 고서 마져도 쇠고기 장조림이 나오는 것을 보면 그 역사가 매우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장조림의 역사는 근래 20년 전 부터 급속히 발전하였는데, 아마도 이전의 우리 조상들은 이를 조리상 이용하지는 못했던 것 같다.
쇠고기 장조림의 제조방법은 그 후로 계속 발전하여 현재와 같이 쇠고기장조림을 먹을 수 있게 되었다.
쇠고기 장조림의 발전은 우리나라의 식생활에 많은 변화를 주었다.
밥과 함께 쇠고기로 장조림을 만드는 등 요리법이 다양해졌고, 쇠고기의 부위도 더욱 세분화되고 양념도 더욱 다양해져서 우리의 음식문화가 더욱 풍부해졌다.
쇠고기 장조림의 영양 쇠고기는 단백질은 풍부하나 칼슘과 비타민A, 비타민C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단백질은 필수 아미노산을 갖고 있어서 우리 몸에서는 인체 필수 아미노산으로 전환되는데, 이는 쇠고기를 통해서 섭취할 수 있다.
소화 흡수된 아미노산은 인체의 성장과 유지 및 생리적 기능 수행에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쇠고기 장조림의 효능 장조림이란 장에 작용하여 단백질 응고작용, 펩톤작용, 유리아미노산 응고작용 등의 독특한 작용을 한다고 보고되어 있으나, 이 중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펩톤작용이다.
이 펩톤작용은 주로 단백질을 레닌이라는 펩신이 효소로 바꾸어 주는 것인데, 이 때의 단백질의 모양은 젤라틴의 모양이 된다.
젤라틴은 동물성 단백질에 많이 있는데, 쇠고기 젤라틴은 다른 식품의 젤라틴과는 달리 젤라틴의 성질을 띠고 있다.
젤라틴은 비타민C의 흡수를 돕기도 한다.
육류의 부패를 막을 수는 없지만, 고기의 육질을 연하게 하고, 화학조미료나 인공색소와 같은 유해성분의 흡수를 줄일 수 있는 것이 우리의 장조림과 같은 방법의 조리법이다.
쇠고기 장조림의 영양 쇠고기의 단백질은 아미노산 조성이 우수한 편이고, 필수 아미노산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지방은 고급 포화지방산이 많은 것이 특색이며, 비타민B2가 많이 들어 있다.
쇠고기를 사용한 장조림은 이러한 쇠고기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어 영양적으로 우수한 단백질 식품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장조림이란 장에 작용하여 단백질 응고작용, 펩톤작용, 유리아미노산 응고작용 등의 독특한 작용을 한다고 보고되어 있으나, 이 중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펩톤작용이다.
쇠고기 장조림의 효능 장조림을 만들기 위하여 쇠고기를 덩어리째 삶아서 적당한 크기로 찢어놓은 후 고기를 손으로 짜서 물기를 제거하고 간장에 설탕, 물, 꿀을 넣고 끓이다가 약간의 녹말 성분이 있는 쇠고기 삶은 물을 약간 부어 걸쭉하게 끓여 장조림을 만든다.
장조림의 장점 1) 쇠고기는 단백질이 많은 부위로 지방질은 거의 없어 맛이 담백하다.
2) 쇠고기는 맛이 좋고 연하여 특별한 양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저장성이나 조리하기가 간편하다.
장조림의 장점 1) 육류 자체에는 맛이 담백하며 질이 매우 좋다.
2) 소화 흡수가 잘된다.
2) 단, 오래 삶으면 간이 너무 진해져서 짠맛이 강해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장조림의 단점 1) 오래 두고 먹을 수 없다.
2) 시간이 경과할 수록 색이 짙어지고, 간도 짜며, 조직이 너무 물러져 조리하기가 불편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장조림의 영양 성분 쇠고기 장조림은 열량 64kcal, 나트륨 771 mg, 수분 88.1%, 단백질 12.6g, 지방 4.1 g, 탄수화물 2.5g, 회분 1.0g, 칼슘 290mg, 인 184mg, 비타민A 50IU, 비타민B1 0.05mg, 비타민B2 0.12mg, 나이아신 2.5mg, 비타민C 2mg 등이 들어 있다.
효능 장조림은 쇠고기 장조림과 돼지고기 장조림이 있는데, 주로 쇠고기를 이용하여 장조림을 만드는 이유는 장조림의 맛이 좋을 뿐만 아니라 영양가도 풍부하기 때문이다.
4. 양념이 잘 배어 있어 고기나 야채, 밥반찬을 곁들여 먹으면 좋다.
5. 시간이 오래 걸리는 특성을 지닌 음식이라 몸이 차고 소화기관이 약한 소음인이나 노인들에게 필요한 음식이다.
6. 고기를 먹고 체한 데 효과가 있고, 고기 먹고 체하면 새우젓을 먹으면 좋다.
쇠고기 장조림 재료 쇠고기 400g, 꽈리고추10개, 피망2개, 표고버섯4개, 마늘6쪽, 진간장4큰술, 설탕2작은술, 참기름2작은술, 후춧가루 약 14작은술 생강1개, 물 15컵, 통후추 10알 만들기 1. 쇠고기는 찬물에 10∼20분 동안 담가 핏물을 뺀 후 돼지고기는 삼겹살 모양으로 썰어 둔다.
2. 냄비에 물, 통후추, 마늘 생강을 넣고 끓이다가 1을 넣고 삶는다.
3. 1이 익으면 건져내고 진간장과 설탕을 넣어 은근히 졸인다.
4. 국물이 자작해지면 꽈리고추를 넣고 1분 정도 끓이다가 불을 끄고 참기름과 후춧가루를 넣어 맛을 낸다.
* 꽈리고추는 작은 것이 좋다.
그리고 조리는 중간에 넣고 뒤적이면 색이 고루 들지 않는다.
꽈리고추 대신에 붉은고추나 청양고추를 서너 개 썰어 넣어도 좋다.
5. 더덕을 넣어도 좋다.
더덕은 향과 맛이 좋은 고단백 강장식품으로 영양이 풍부하다.
더덕의 사포닌 성분은 피부를 튼튼하게 해 주는 것은 물론 지친 위에도 효과적이다.
더덕을 손질할 때는 이끼로 흙을 잘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손질한 더덕은 방망이로 자근자근 두들겨야 식감도 좋고, 손질하기도 쉽다.
<경고사항>
이 글은 전문가가 아닌 블로거 개인이 작성한 글이므로,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필자는 글의 내용으로 인한 모든 피해에 대해 책임지지 않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필요한 경우 반드시 전문가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