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이번에는 김장김치로 김치볶음밥을 만들었습니다



저는 이번에는 김장김치로 김치볶음밥을 만들었습니다


저는 이번에는 김장김치로 김치볶음밥을 만들었습니다

이번에는 영양 전문가들이 칭찬하는 김치볶음밥의 신비한 효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건강에 좋은 재료들이 많이 들어간 김치볶음밥은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식품이랍니다.

김치는 영양학적인 측면과 맛뿐만 아니라 건강에도 매우 좋다고 해요.


김치에는 엽산이 풍부하게 들어있는데요.

장에 살고 있는 좋은 균들로, 대장균과 같은 유해균이 살지 못하는 환경을 만들어 줍니다.
김치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고춧가루, 마늘, 생강, 파, 깨, 배, 사과 등의 재료로 만들어지며, 특히 고춧가루에는 캡사이신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캡사이신의 체지방 연소 효과는 김치와 고춧가루가 만나면 그 효과가 더욱 커집니다.
그럼 지금부터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김치볶음밥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김치볶음밥에 들어가는 재료들!

김치는 김장김치를 사용하셔도 좋고, 지금은 열무김치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저는 이번에는 김장김치로 김치볶음밥을 만들었습니다.


김치는 양념을 털어내고, 길게 쭉 찢어줍니다.

김치국물도 함께 넣어주세요.
김치볶음밥에는 김치만 들어가도 맛있지만, 햄과 계란이 들어가면 더욱 맛있답니다.

팬에 기름을 조금 두른 뒤에, 다진 마늘을 넣어주세요.
소금과 후추로 간을 해주세요.

김치를 넣고 볶아주세요.
김치를 볶을 때는 불을 세게 해서 김치가 살짝 물이 나올 정도로 익혀줘야 아삭아삭한 식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양파를 넣고 함께 볶아주세요.


양파는 생으로도 먹지만, 볶음밥에 넣어 함께 볶아주면 더욱 아삭한 식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햄도 넣어주세요.

햄도 같은 재료인 햄을 사용하셔도 되고, 고기를 넣고 만드셔도 좋습니다.

저는 이번에 고기 대신 햄을 넣었는데요.
간장을 넣어주세요.

간장은 감칠맛을 내주고, 김치볶음밥의 감칠맛을 더해 줍니다.
간장은 김치의 신맛을 중화시키고, 간장의 짭조름한 맛과 감칠맛이 김치의 신맛을 줄여주어 궁합이 잘 맞습니다.

간장은 13컵 정도를 넣어주세요.


간장의 양은 김치의 맛에 따라 조절해주시면 됩니다.

대파도 넣어주세요.
대파는 몸의 열을 풀어주고, 해독 작용과 독소 배출에 도움을 줍니다.

후추는 후추 나름의 향이 있기 때문에, 향을 싫어하시는 분들은 빼주셔도 됩니다.
깨소금도 넣어주세요.

깨소금은 고소한 향과 맛이 있어 김치볶음밥의 풍미를 더욱 올려주고, 입맛을 돋아줍니다.

간을 본 뒤에 부족한 간은 소금으로 해주시면 됩니다.

김치국물이 없다면, 물을 사용하셔도 됩니다.


밥을 넣고 볶아주세요.

저는 밥을 미리 지어 놓은 뒤에 김치볶음밥을 하니까 밥이 질지 않아 더욱 맛있답니다.
김치가 질척질척해지도록 볶아주세요.

마지막에 참기름도 넣어주세요.

김치볶음밥의 맛을 더욱 풍부하고 맛있게 해줍니다.

바로 김에 싸먹는 건데요.
이 방법은 김치의 맛과 향이 더 강해져 더욱 맛있게 먹을 수 있습니다.

저도 김장김치를 준비해놓고, 먹을 때마다 꺼내서 싸먹었더니 더욱 맛있었습니다.


이제까지 김치볶음밥의 다양한 효능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몸에 좋은 김치볶음밥으로 맛있고 건강한 식사를 하시길 바랍니다.
김치볶음밥 만들기!

재료 소개!
김치, 햄, 양파, 대파, 계란, 김치국물, 참기름, 간장, 후추, 깨, 소금 양파는 채썰어서 준비해주세요.

햄은 납작하게 썰어주세요.
저는 스팸을 사용했는데요.

햄은 통조림 햄이나, 삼겹살 부위를 사용하시면 식감이 더욱 좋답니다.

당근은 식감을 위해 약간 두껍게 채썰어주었습니다.
대파는 길쭉길쭉하게 썰어서 준비해주세요.

계란은 스크램블을 만들어 다져놓았습니다.
김치볶음밥에는 잘게 썰어놓은 김치와 양파, 햄을 넣는 것이 포인트인데요.

김치와 양파, 햄을 밥과 함께 잘 섞어서 그릇에 담아줍니다.
그 위에 채썰어놓은 당근과 대파를 넣고, 소금과 후추로 간을 해주세요.

밥을 한 주걱 떠서 계란 스크램블과 김치, 햄을 넣고 잘 섞어주세요.
그리고 마지막에 참기름을 둘러줍니다.

고소한 향과 맛을 위해 참기름을 넣어주세요.
김치볶음밥은 재료만 있으면 쉽게 만들 수 있는 음식입니다.

하지만 맛을 내기가 쉽지 않은데요.

<경고사항>
이 글은 전문가가 아닌 블로거 개인이 작성한 글이므로,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필자는 글의 내용으로 인한 모든 피해에 대해 책임지지 않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필요한 경우 반드시 전문가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