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나물국 만들기 1 콩나물의 뿌리에 묻은 흙을 잘 씻어내고, 콩나물을 건져 찬물에 헹군다
이번에는 전세계 사람들이 놀란 콩나물국의 놀라운 효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콩나물이란?
콩에 햇빛을 비쳐 싹을 틔운 작용을 한것으로 지금은 장에서 음식을 만들고 있습니다.
콩나물 100g에는 17.2g의 단백질이 들어있고, 비타민 B1, B2 및 비타민 C도 풍부하게 들어있어 영양적으로 우수합니다.
◆ 콩나물국의 놀라운 효능 1 콩나물국은 살갖을 희게하고 흥분을 가라앉히는 효과가 있을 뿐만아니라, 술을 마실때도 주독을 없애는데 도움이됨.
2 콩나물국은 신경을 가라않히고 열을내려 주독을 푸는데 도움이됨.
6 콩나물국은 장과 위의 맺힘을 풀어주고, 장을 깨끗하게하고 가슴앓이를 없애며, 술에 취하며 깨는것을 도와줌.
◆ 콩나물국 끓이는 방법 1콩나물 600g을 깨끗이 씻어 껍질을 벗긴다.
2콩나물을 넣어 충분히 불을 지핀다.
3콩나물을 삶은후 찬물에 행구고, 다시물1컵을 부은후에 4, 마늘을 넣어 한소금 끓인다.
5콩나물이 끓기시작하면 소금으로 간한후, 콩나물을 건저 접시에 담는다.
6콩나물국을 그릇에 담고 고명을 뿌린다.
콩나물은 콩으로 만든 메주를 띄우는 발효과정, 즉 싹을 틔운다고 하여 ‘떡잎이’ 또는 ‘씨의 싹’이라고 하여 ‘씨꽃’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합니다.
그리고 콩나물 뿌리에는 아스파라긴산이 콩에 비해 3~4배나 많으므로 뿌리도 상당히 중요시 되고 있습니다.
콩에는 지방의 함량이 제일 낮은데 비해 콩나물에는 식물성 식품으로는 가장 이상적인 단백질이 30% 가량이나 들어있어 약으로도 생것으로 먹어도 좋습니다.
◆ 콩나물국의 일반적 효능 1 콩나물에는 비타민C를 비롯하여 기타 영양성분도 풍부한데, 특히 콩나물 뿌리 쪽에는 아스파라긴산의 함량이 높습니다.
2 콩나물국을 끓일 때, 맛을 더 좋게 하기 위해서는 콩나물 삶은 물을 꼭 마시고 조리하도록 합니다.
5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비타민, 무기질 등이 들어있는 영양식품입니다.
6 콩나물에는 콩에는 없는 비타민C가 많고, 비타민A와 B1, B2가 많이 들어있습니다.
7 콩나물은 지방대사를 촉진하는 비타민으로서, 지방의 축적을 방지합니다.
8 콩에는 지방의 흡수를 억제해 주는 불포화 지방산인 불포화 지방산이 많이 들어 있으며,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작용도 들어있습니다.
9 콩나물에는 인체구조상 산화되기 쉬운 유해물질을 제거해주는 비타민 C가 많이 들어있어, 체내의 유해물질 배설에 도움을 줍니다.
11 콩나물은 필수 아미노산, 단백질과 비타민 C의 보고입니다.
◆ 콩나물국을 맛있게 먹는 방법 1 콩나물은 약간의 소금과 멸치 마늘등을 넣고 삶아서 식히고, 2 콩나물은 국물의 맛을 좋게하기 위해 여러가지 양념을 넣고 무칩니다.
3 마지막으로 한소큼 끓으면 대파, 다진마늘, 청, 홍고추를 넣어줍니다.
◆ 콩나물국 만들기 1. 콩나물의 뿌리에 묻은 흙을 잘 씻어내고, 콩나물을 건져 찬물에 헹군다.
2. 콩나물을 건져내고, 시원했던 국물맛이 우러나면, 머리와 껍질을 떼어낸다.
3. 냄비에 콩나물을 넣고 물을 부어 끓인다.
4. 물이 끓으면 소금과 마늘을 넣어 간을 맞춘다.
5. 국물이 끓기시작하면, 콩나물을 먼저 건져내고, 끓으면 국물이 끓어 오르면, 데친 콩나물을 넣고 끓여낸다.
2 콩나물과 된장: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먹는 것이 바로 국입니다.
또, 찌개라고 부르지 않고, 그 이름이 ‘찌개’인 이유는 바로 국물의 구수한 맛 때문이기도 합니다.
콩나물국은 콩의 우수한 영양소는 물론이고, 콩나물이 가지고 있는 양질의 성분들이 어우러져 영양적인 면에서도 아주 뛰어난 식품입니다.
3 콩나물과 쌀: 쌀은 쌀과 함께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곡물입니다.
쌀에는 필수 아미노산인 리신이 적고, 또, 쌀에는 필수 영양소인 비타민B1, B2가 적습니다.
따라서, 두가지 곡물을 섞어 먹으면, 쌀의 부족한 영양소를 보충시켜 줄뿐만 아니라, 쌀의 독을 해소시키는 작용도 합니다.
4 콩과 팥: 콩에는 많은 단백질과 탄수화물이 들어 있고, 팥은 쌀에 부족한 비타민B1을 보충시켜 줍니다.
◆ 콩나물국 맛있게 끓이는 방법 1 콩나물국을 끓일 때 소금을 넣고 처음에는 센불에서 끓이다가 한소큼 끓으면 콩나물을 넣고 끓인다.
2 콩나물을 익을 때쯤에는 중간에 국물의 간을 한번 봐주고, 싱거우면 소금으로 간을 맞춘다.
3 두껑을 덮고 파, 마늘, 고추가루를 넣는다.
4 마지막으로 참기름을 한두방울 떨어뜨리면 맛있는 콩나물국을 먹을 수 있다.
◆ 콩나물과 장 담그기 1. 콩의 종류 1) 종류 콩의종류 분류 메주만들기 약주담그기 – 삶은것- 메주콩 서리태(노란콩) 콩나물콩 팥 2) 좋은 메주 고르는 요령 1 콩의 모양이 엉성하고 크기가 작은 것은 콩의 잔뿌리가 많이 붙어 있고 색깔이 검은 것이 좋다.
2 콩의 색깔이 누렇게 변색된 것은 노란 콩으로 좋지 않다.
3 콩에 갈색이나 붉은 색이 돌면 윤기가 나고 모양도 통통하게 잘 생긴 콩이다.
4 콩의 색깔은 흰색, 붉은색, 노란색, 녹색, 검은색 순서대로 좋다.
5 콩을 쪼아 먹는 햇콩은 가능하면 빨리 띄워 찌면 잘 익고 맛도 좋다.
2. 재료 1) 대두(노란 콩) – 대두는 콩의 노란 빛깔과 광택이 있어 노란 콩이라고 한다.
콩은 밭에서 나는 쇠고기라 불릴 정도로 그 영양가가 뛰어나다.
단백질과 지방은 물론 비타민 B1·B2·E, 철분, 칼슘, 이소플라본 이 풍부하다.
2) 메주콩(흰콩) 메주콩은 대두에 비해서 단백질 소화율이 95% 정도이며, 필수 아미노산 중 메티오닌(methionine)과 시스테인(cystein)이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다.
3) 서리태 (검은콩) 메주콩에 비해 단맛이 떨어지지만 단백질과 섬유질은 풍부하다.
비타민은 서리태가 서리를 맞아 가는 과정에서 새로 생긴다.
검은 색이 진할수록 맛이 좋다.
4) 콩나물콩 콩나물 콩은 영양적으로 우수한 식품이다.
<경고사항>
이 글은 전문가가 아닌 블로거 개인이 작성한 글이므로,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필자는 글의 내용으로 인한 모든 피해에 대해 책임지지 않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필요한 경우 반드시 전문가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