쑥갓에 두부를 넣을 경우 두부가 칼슘이 많아 영양적으로도 좋은 궁합이다
쑥갓은 어린싹은 식용하고, 꽃은 약용하며, 한방에서는 약재로 이용됩니다.
■ 쑥갓의 효능 – 비타민이 풍부하다.
쑥갓 100g에는 비타민A가 4,000 IU나 함유되어 있어, 특히 환절기 식품 중에서도 비타민A의 공급원으로 우수합니다.
– 변비 예방에 좋다.
쑥갓에는 비타민C가 풍부하게 들어 있어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주며, 철분의 함량이 높아 빈혈을 예방하고, 칼슘이 풍부해 뼈를 튼튼하게 해주는 효능이 있습니다.
– 피부를 아름답게 한다.
쑥갓은 기미와 주근깨를 예방, 완화시키며 피부에 윤기를 주고 미백효과도 뛰어납니다.
■ 쑥갓의 영양성분 – 식품으로서의 철분, 칼슘, 비타민A, 비타민C, 식이섬유 등 풍부 – 쑥갓의 독특한 향기는 정유성분 때문이며 소화를 돕고 식욕을 돋구어 주는 역할을 한다.
– 비타민이 풍부: 쑥갓 100g에는 비타민A가 4,000 IU로서 아주 많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쑥갓에는 비타민A는 물론 그와 비슷한 양의 비타민A를 함유하고 있는 다른 채소들과 비교해 봤을 때 그 함유량이 월등하다.
그리고 쑥갓의 칼슘, 인, 철분, 비타민 B1, B2, C는 바이러스 퇴치에 도움이 되며, 특히 비타민C는 감기에 효과가 있고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하루 귤 40개면 성인의 1일 비타민 권장량을 채울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대장의 연동 운동을 활발하게 해줌으로써, 장벽을 자극해서 변의 대장 통과 시간을 단축시켜주므로 배변 시 무리가 없고, 장내는 깨끗한 상태로 만들어준다.
쑥갓을 많이 먹을 경우에는 비타민C가 파괴되지 않을까 하는 의구심이 드는데, 비타민C는 열이나 빛에 강하고, 그 성질도 안정적이기 때문에 오래 가열하더라도 손실이 없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쑥갓을 살짝 데치면 비타민C의 섭취 문제는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쑥갓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질은 체내에 쉽게 흡수되어 그의 효용은 더욱 커진다.
쑥갓에 두부를 넣을 경우 두부가 칼슘이 많아 영양적으로도 좋은 궁합이다.
그리고 쑥갓이 향이 독특하고 맛이 산뜻해서 다른 재료와 섞어서 조리하는 것이 좋다.
■ 쑥갓을 이용한 요리 – 쑥갓 장아찌 재료: 쑥갓 1단, 간장 1컵, 식초 1컵, 설탕 1.5컵, 물 1컵 (1: 1 비율) – 쑥갓 겉절이 재료: 쑥갓, 고춧가루 1큰술, 조선간장 1큰술, 설탕 약간, 깨소금 1큰술, 참기름 1큰술 – 쑥갓 된장국 재료: 쑥갓, 된장 1큰술, 소금 약간 (쑥갓을 줄기까지 이용하고, 잎 근처에는 어린 쑥갓을 이용한다.) – 쑥갓 된장국 재료: 쑥갓, 된장 1큰술, 고추장 1작은술, 양파 1개 (쑥갓은 줄기까지 이용하고, 잎 근처에는 어린 쑥갓을 이용한다) – 쑥갓 무침 재료: 쑥갓, 고추장 약간, 고춧가루, 간장, 참기름 (기름은 가능하나, 튀김류는 안 되고, 맑은 장국이어야) – 쑥갓 김치 재료: 쑥갓, 고춧가루 1큰술, 조선간장, 고추가루, 통깨 1작은술, 설탕 1작은술, 다진 마늘 1큰술, 다진생강 1작은술, 참기름 1작은술, 소금 조금 (쑥갓을 줄기까지 이용하고, 잎 근처에는 어린 쑥갓을 이용한다.) – 쑥갓 생채 재료: 쑥갓, 조선간장, 고춧가루, 다진 마늘, 다진 파, 참기름, 통깨 (쑥갓을 줄기까지 이용하고, 잎 근처에는 어린 쑥갓을 이용한다.) – 쑥갓 튀김 재료: 쑥갓, 튀김가루, 튀김기름 (쑥갓 줄기까지 이용하고, 잎 근처에는 어린 쑥갓을 이용한다.) – 쑥갓 생채 재료: 쑥갓, 고추장, 고춧가루, 양파, 소금 (모든 나물 무침의 밑재료로 사용할 것) – 쑥갓 김치 재료: 쑥갓, 조선간장, 고춧가루, 다진 마늘, 다진 파, 참기름, 통깨, 설탕(설탕, 소금) ■ 만드는 법 1. 제철 쑥갓은 밑동이 약간 누렇게 된 것을 골라 줄기 끝부분의 지저분한 것을 떼어내고 씻어서 5cm 길이로 썰어 놓는다.
2. 냄비에 물 2컵을 붓고 끓으면 소금을 약간 넣고 쑥갓을 살짝 데친다.
물이 끓으면 쑥갓을 건진 후 찬물에 재빨리 헹구어 건져낸다.
쑥갓 데친 물은 찬물에 흔들어가며 씻는다.
3. 볼에 데친 쑥갓과 소금, 다진 마늘, 다진 파, 참기름, 고춧가루를 넣고 무친 후 잠시 두었다가 먹는다.
쑥갓은 향이 강하므로 찬물에 헹구어 바로 건져 먹는 것이 좋다.
쑥갓은 줄기까지 이용하고, 잎 근처에는 어린 쑥갓을 이용한다.
■ 쑥갓 먹는 법 1. 쑥갓은 잎줄기를 이용한다.
2. 쑥갓을 깨끗이 씻는다.
3. 끓는 물에 소금을 약간 넣고 쑥갓을 살짝 데친 후 재빨리 찬물에서 건져낸다.
쑥갓을 바로 찬물에 헹궈야 씁쓸한 맛이 없어진다.
4. 채반에 밭쳐 놓은 쑥갓을 가지런히 놓은 후 찬물이 담긴 볼에 넣는다.
5. 찬물에 헹구어 낸 쑥갓과 물기를 뺀 후 그릇에 차곡차곡 담은 후 조선간장을 조금씩 넣어주고, 취향에 따라 고춧가루를 조금 뿌려도 좋다.
6. 이렇게 만든 쑥갓나물을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손으로 꼭꼭 쥐어서 그릇에 담은 후 깨소금을 살짝 뿌려낸다.
쑥갓을 데쳐 먹을 경우에는 풋내를 없애기위해 조선간장을 1큰술을 넣어 무쳐주면 좋다.
쑥갓의 쓴맛을 없애기 위해서는 찬물에 충분히 헹구어 바로 건져내 먹어야 한다.
쑥갓을 데쳐 바로 찬물에 헹구면 풋내가 제거되는 것은 물론, 쑥갓의 떫은 맛도 제거된다.
데친 쑥갓을 그대로 썰어 무치면 부드럽고 맛이 좋다.
또한 쑥갓을 된장에 무쳐 된장국을 만들면 부드러운 맛이 좋다.
된장국은 역시 재래식 된장을 사용해야 제 맛이 난다.
그러니 전통적으로 발효된 진짜 재래식 된장을 먹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다.
된장국을 끓인 후에는 쑥갓을 살짝 데쳐 먹으면 쑥갓의 향기가 감돌아 더욱 좋다.
<경고사항>
이 글은 전문가가 아닌 블로거 개인이 작성한 글이므로,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필자는 글의 내용으로 인한 모든 피해에 대해 책임지지 않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필요한 경우 반드시 전문가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