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가 말하는 낙지젓의 충격적인 효능



전문가가 말하는 낙지젓의 충격적인 효능


전문가가 말하는 낙지젓의 충격적인 효능

낙지의 효능을 알고나니 낙지젓갈에 대한 생각이 많이 달라지시죠?
그럼 이제부터 전문가가 말하는 낙지의 놀라운 효능과 충격적인 낙지젓갈 만드는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낙지젓갈은 낙지를 소금에 절여 양념하여 만든 젓갈로, 입맛이 없을 때 먹거나, 매콤하고 쌉쌀한 맛때문에 입맛을 잃기 쉬운 봄철에 반찬으로 먹으면 좋다고 합니다.


또한 낙지젓갈의 붉은 색은 시각을 자극하며 군침이 돌도록 하여 입맛을 돋구는데 도움을 줍니다.

낙지 젓갈을 만들기 위해서는 우선 살아있는 낙지를 써야 합니다.
낙지는 우선 신선해야하기 때문입니다.

갓 잡은 신선한 낙지를 쓰면 낙지의 쫄깃한 식감을 제대로 느끼실 수 있고, 신선한 낙지만 엄선하여 젓갈을 만들어도 낙지 고유의 맛을 담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낙지를 손질할 때는 한 끼 먹을 분량을 먹기 좋게 손질합니다.
낙지를 손질할 때는 내장을 감싸고 있는 부위(대가리, 다리)와 낙지 머리 부분을 가위로 잘라냅니다.

다리는 칼로 훑어 내리면 되고, 낙지의 입은 칼로 잘라냅니다.
낙지는 오래 삶아 낙지를 손질하게 되면 질겨질 수 있으니 잠깐 삶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단계로 낙지는 배를 갈라 내장을 제거합니다.

소라는 내장을 제거해도 되지만, 낙지를 손질하면서 빨판에 낀 뻘흙을 제거해야 질겨지지 않으니 낙지의 입은 칼로 훑어 제거합니다.

낙지 손질이 끝나면, 소금, 설탕, 고춧가루를 섞어 미리 절여둡니다.
소금은 굵은 소금이나 천일염(호염)을 사용해야 맛이 좋습니다.

소금을 넣고 하루정도 절여두면 소금이 녹고 낙지가 약간 절전되는데, 이때 소금은 버리지 마시고 따로 보관하다가 낙지를 버무릴 때 사용하면 됩니다.

낙지는 소쿠리에 넣어 바락바락 씻어 줍니다.
낙지는 바락바락 씻어야 낙지의 미끈거림이 없고 낙지의 쫄깃함이 살아 있습니다.

다음단계로, 낙지는 적당한 크기로 잘라주고 칼국수가 끓을 때 넣어줍니다.


칼국수가 끓으면, 낙지를 넣고 낙지를 휘저어 칼국수가 떠오르게 해주고, 이때 낙지를 넣으면 낙지가 질겨지지 않습니다.

낙지를 넣은 다음, 칼국수가 다시 끓을 때까지 젓지 않고 그대로 둡니다.

칼국수에서 수분이 충분히 나오게 되면, 칼국수를 그릇에 담아냅니다.

칼국수를 그릇에 담고, 미리 손질해 놓은 마늘과 대파를 넣고, 잘 버무린 낙지젓갈을 넣어줍니다.
낙지가 익으려면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칼국수가 익을 때까지는 조금 기다렸다가 낙지가 익었으면 불을 끄기 직전에 넣어줍니다.

낙지가 익으면 불을 끄기 직전에 넣어줍니다.
다음단계로 그릇에 낙지젓갈을 담고 깨소금을 곱게 갈아 국물과 버무린 후, 기호에 맞게 김가루를 올립니다.

(낙지에 소금간이 있기 때문에 국물에 간을 너무 많이 하지는 마시고, 낙지젓갈의 양이 많지 않기 때문에 깨소금은 소량 넣으시길 권합니다.) 마지막단계로 참기름을 기호에 맞게 넣어드시면 낙지젓갈이 완성됩니다.

낙지를 손질할 때는 손을 물에 담갔다 빼서 다리는 손이 물에 담구어 있을 때, 살은 칼로 훑어서 씻어주고, 낙지는 먹기 좋게 잘라줍니다.

낙지에는 타우린이 풍부하여 콜레스테롤을 낮춰주고, 뇌기능을 돕는 DHA가 풍부하여 기억력 향상에 도움을 줍니다.
절여진 낙지를 꺼내어 먹기 좋게 썬 다음, 칼로 머리와 다리부분을 잘라줍니다.

그리고 머리와 다리부분은 다져서 따로 보관해 둡니다.
낙지는 오래 삶을 수록 질겨지기 때문에 오래 삶지 말고, 소금을 넣은 물에 한 번 데쳤다가 바로 건져 찬물에 헹구면 낙지 특유의 탱탱한 식감을 살릴 수 있습니다.

낙지를 데쳐놓은 물에 칼국수가 끓으면 낙지를 넣어주고, 낙지를 넣은 다음, 칼국수가 익으면 불을 끄기 직전에 넣어줍니다.

<경고사항>
이 글은 전문가가 아닌 블로거 개인이 작성한 글이므로,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필자는 글의 내용으로 인한 모든 피해에 대해 책임지지 않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필요한 경우 반드시 전문가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