쌈장은 뜨거울 때 간을 보아야 한다
빈혈 예방에 좋다.
다이어트에 좋다.
불면증을 예방한다.
피부미용에 좋다.
중금속 해독에 좋다.
노화방지에 좋다.
두뇌회전에 좋다.
봄동, 쪽파, 달래.
2] 나쁜 쌈 재료: 양배추, 양상추, 비타민, 무, 부추, 생강, 청갓, 홍갓, 겨자잎, 미나리, 갓, 아주까리, 산달래, 셀러리, 도라지.
씀바귀, 민들레.
쑥, 냉이, 비름.
부추(정구지류) 좋은 쌈 재료 * 상추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불면증을 해소한다.
* 쑥갓은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비타민 A,C가 풍부하며 몸속의 콜레스트롤 수치를 낮춰준다.
* 케일은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눈의 피로를 없앤다.
* 치커리, 루콜라는 칼슘, 철분, 마그네슘, 비타민이 풍부해 스트레스를 해소한다.
* 청겨자잎은 비타민 C와 칼슘이 풍부하고 열을 내리는 성질이 있다.
* 쪽파는 칼슘, 철분, 비타민 A가 풍부하며 감기, 두통, 발열, 오한에 좋다.
* 비타민과 무기질, 섬유질, 영양이 풍부한 봄동은 된장으로 버무려 먹으면 다이어트 시 부족한 단백질을 공급하여 비만을 예방해준다.
* 치커리나 양배추는 칼슘과 인, 철분이 풍부하여 다이어트 시 도움을 준다.
* 비트는 스트레스로 발생하는 칼슘의 배출량을 감소시킨다.
* 양상추는 칼로리가 매우 낮고 비타민과 식이섬유가 풍부하다.
* 비타민A와 C가 풍부한 열무는 소화 불량이나 스트레스로 인한 두통에 좋다.
* 생강은 구토를 멈추게 하고 가래를 삭게 한다.
* 비타민A가 풍부한 쑥갓은 스트레스로 인한 두통에 좋다.
* 생강은 복부 팽만감이나 변비에도 좋다.
* 비타민과 무기질, 영양소가 풍부하고 정장작용을 하는 봄동은 비타민A가 풍부해 피부미용에 도움을 준다.
* 무는 소화작용을 돕는다.
* 부추는 강장작용을 하고 알리신이 들어 있어 몸의 기력을 증진시킨다.
* 생강은 돼지고기와 같은 생강이 좋다.
* 녹차에는 카테킨이라는 성분이 풍부한데 이는 우리 몸의 독소를 해독하고 활성산소를 억제한다.
4. 좋은 쌈장과 나쁜 쌈장 좋은 쌈장 재료 된장, 견과류, 고추장, 멸치가루(마른 표고버섯, 다시마가루), 깨가루(검은깨, 들깨가루), 다진 마늘, 참기름, 식초 1> 견과류를 갈아서 된장에 넣어준다.
2> 멸치도 갈아서 견과류에 넣어준다.
3> 고추장은 된장과 견과류를 넣어 갈아준다.
4> 마지막 깨와 참기름을 넣어준다.
5> 식초를 넣어준다.
(깨의 양은 견과류의 비율보다 많이 넣어준다.) 6> 마지막으로 다진 마늘을 넣어준다.
7> 땅콩이 들어가면 색이 변하므로 식초는 넣지 않는다.
8> 견과류의 양보다 된장을 더 많이 넣어준다.
9> 견과류를 끓인 물에 넣어준다.
나쁜 쌈장 재료 청국장, 고추장, 다진 마늘, 다진 파, 다진 양파, 참기름, 식초, 매실액 1> 된장과 청국장을 섞어 갈아서 넣어준다.
3> 다진 마늘, 다진 파, 다진 양파, 참기름, 식초, 설탕,매실액을 넣어준다.
(식초를 넣는 이유는 곰팡이가 생기거나 맛을 변질시키는 물질을 억제해주는 역할을 한다.) 6> 마지막으로 참기름을 넣어준다.
좋은 쌈장 만드는 법 * 좋은 쌈장과 된장, 고추장 비율은 1: 1: 0.5: 0.5이다.
* 좋은 쌈장을 만들기 위해 재료는 된장, 고추장, 다진 파, 다진 양파, 참기름, 식초, 매실액을 준비한다.
1> 된장 한 큰술을 약콩을 끓인 물에 넣어준다.
2> 잠시만 약콩을 우려준다.
3> 쌈된장은 한번 끓으면 바로 먹어야 한다.
(쌈장이 뜨거울 때 간을 봐야 하기 때문) 4> 견과류에 통깨(검정깨)을 갈아서 한 스푼 넣어준다.
5> 참기름을 넣어준다.
(들기름도 무방) 6> 견과류를 끓인 물을 한 냄비 넣어준다.
6. 좋은 견과류 쌈장 좋은 쌈장과 견과류 재료 쌈 쌈장: 고추장, 된장 5: 1 1: 0.5 견과류: 호두, 아몬드, 땅콩, 피스타치오, 호박씨, 해바라기씨 5: 1: 0.5 간 견과류(약콩) 쌈장과 간 견과류 쌈장이다.
간 견과류는 약콩으로 해 준다.
1> 약콩을 끓인 물에 견과류를 넣어준다.
3> 쌈장은 뜨거울 때 간을 보아야 한다.
간 견과류를 끓인 물에 약콩을 넣어준다.
약콩을 끓인 물에 간 견과류를 넣어준다.
좋은 쌈장 황금 비율 견과류 쌈장 재료 견과류(호두, 아몬드, 땅콩, 피스타치오, 호박씨, 해바라기씨) 10: 0: 1: 1 간 견과류 쌈장과 견과류 쌈장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1> 견과류는 믹서기에 갈아서 넣어준다.
3> 간 견과류 쌈장을 준비해둔다.
9> 깨를 넣어준다.
견과류 쌈장 활용법 7가지 1> 야채 샐러드와 고기를 싸 먹을 때 견과류 쌈장을 넣으면 씹는 맛이 좋아진다.
2> 고기의 느끼한 맛을 잡아주고 채소와 과일 맛을 함께 즐길 수 있다.
3> 된장국이나 나물무침에 쌈장을 넣으면 고소하다.
4> 쌈을 싸 먹을 때 약간의 쌈장을 넣으면 상큼하다.
5> 쌈장을 만들 때 견과류를 갈아 넣으면 풍미가 좋아진다.
7> 과일을 깍아먹을 때 얇게 썰어 넣으면 과일이 오염되지 않고 단맛이 난다.
8> 된장찌개를 끓일 때 마지막에 약간의 된장을 넣으면 개운하고 쌉쌀한 맛이 난다.
<경고사항>
이 글은 전문가가 아닌 블로거 개인이 작성한 글이므로,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필자는 글의 내용으로 인한 모든 피해에 대해 책임지지 않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필요한 경우 반드시 전문가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