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화탕은 이 네가지 약재를 혼합해서 몸이 차거운 분들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것입니다



쌍화탕은 이 네가지 약재를 혼합해서 몸이 차거운 분들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것입니다


쌍화탕은 이 네가지 약재를 혼합해서 몸이 차거운 분들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것입니다

1. 쌍화탕이란?
쌍화탕(雙和湯)은 ‘사물탕'(당귀, 작약, 천궁, 숙지황)과 ‘황기건중탕'(황기, 계피, 감초)을 합방한 처방입니다.

쌍화탕에는 사물탕의 기본적인 약재에다가 몸을 따뜻하게 해주고 원기를 회복시켜주는 인삼, 황기와 같은 약재가 추가되었습니다.


쌍화탕에는 당귀와 천궁 두가지 약재가 더 들어갑니다.

2. 쌍화탕과 사물탕의 차이점은?
사물탕(四物湯)에는 당귀와 천궁 그리고 숙지황과 감초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네가지 약재가 각각의 역할을 잘하도록 처방한 것이 사물탕입니다.
따라서 이 네가지 약재를 사물탕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쌍화탕은 사물탕에다가 사물탕의 기본이 되는 약재와 인삼, 황기, 계피, 생강을 추가한 것입니다.

쌍화탕의 원래 이름은 사물탕이었는데, 이후에 좀더 압축해서 부르기 위해 쌍화탕으로 이름을 바꾸고 처방도 약간 수정되었습니다.
두 처방이 이름이 비슷해서 헷갈리는 경우가 제법 있습니다.


3. 사물탕 본래의 의미는?
각각의 약재는 고유한 성질과 그 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들을 이해하면 사물탕의 기본적인 약재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사물탕의 약재 중 숙지황의 성질은 온하고, 당귀는 따뜻하며, 천궁은 서늘합니다.

감초의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 황기의 성질은 약간 차갑습니다.

네가지 약재에는 각각의 성질이 있고, 그 작용도 다릅니다.
따라서 사물탕은 전체적으로 몸을 훈훈하게 데워주고, 원기를 회복시켜주며, 대사가 잘 될 수 있도록 해주는 약재입니다.

4. 사물탕에 인삼과 황기가 추가된 이유는?

인삼은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몸이 찬 분들이 드시면 설사를 할 수 있는데, 이때 인삼을 사용하시면 설사 증상이 멎는 효과가 있습니다.


황기는 성질이 따뜻하고, 기운을 보충해주고 땀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몸이 차가운 사람과, 설사를 자주 하는 사람에게는 인삼과 황기를 넣어도 좋습니다.
사물탕에 들어있는 당귀, 천궁, 숙지황, 감초는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고, 인삼과 황기는 시원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쌍화탕은 이 네가지 약재를 혼합해서 몸이 차거운 분들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것입니다.
쌍화탕과 사물탕은 구성 약재의 차이가 있는데, 쌍화탕에는 사물탕의 기본적 약재 이외에 인삼, 황기가 추가된 것이고, 사물탕에는 당귀와 천궁이 추가된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6. 사물탕과 쌍화탕의 효능 쌍화탕과 사물탕을 합한 처방이 십전대보탕인데, 쌍화탕이 몸을 데워주고, 원기를 회복시켜주며, 대사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면, 십전대보탕은 손발이 찬 분들이나 허리, 무릎이 시린 사람, 몸이 차가워서 대사작용이 활발하지 않는 분들에게 쓰는 보약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기가 허하다는 것은 전체적인 대사기능이 떨어져서 대사가 원활하지 못하다는 뜻이고, 혈이 허하다는 것은 혈액의 대사작용이 활발하지 못하다는 뜻입니다.

사물탕에 들어가는 약재가 혈액의 대사작용을 원활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고, 쌍화탕에 들어가는 약재가 대사작용을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혈액에 문제가 있거나, 대사작용이 원활하지 않은 분들에게 쌍화탕과 사물탕을 많이 사용합니다.

쌍화탕과 사물탕은 따뜻한 약입니다.
십전대보탕은 몸이 차가운 분들에게 쓰는 약이고, 쌍화탕이나 사물탕은 몸에 열이 많은 분들에게 사용하는 약입니다.

사물탕은 몸의 대사작용을 활발하게 만들어주는 처방이고, 쌍화탕은 원래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처방인데, 여기에다 인삼과 황기를 추가해서 몸을 더 따뜻하게 해주는 효과를 배가시킵니다.
8. 사물탕과 십전대보탕의 효과 1) 기와 혈을 보충해줍니다.

천궁은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혈관을 확장시켜주고, 진통작용과 진정작용이 있습니다.

예로부터 보혈작용이 뛰어나 혈이 허한 분들에게 많이 사용하였습니다.
2)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통증이 있다는 것은 기가 부족하다는 뜻입니다.
4) 스트레스를 해소한다.

스트레스는 기의 순환을 방해합니다.
기의 순환이 잘 되지 않으면 스트레스가 생기는데, 이런 스트레스는 기혈순환을 방해해서 통증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혈의 순환을 원활하게 만들어주면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습니다.
당귀, 천궁, 숙지황은 혈을 보충하는 대표적인 약재입니다.

따라서 스트레스로 인해 순환이 원활하지 않은 분들은 쌍화탕과 사물탕을 함께 사용하면 스트레스를 해소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9. 한약을 먹으면 간이 나빠진다?


한약을 먹으면 간이 나빠진다는 속설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간을 보호하고 간 기능을 개선하는 약재입니다.
간이 나빠지는 대표적인 이유는 스트레스입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간의 기혈순환이 잘 되지 않고, 대사작용도 떨어지는데, 이런 상태에서 간을 보호하고 간 기능을 개선해주는 보약을 먹으면 간이 나빠진다는 말이 생겼습니다.
이런 보약은 한의원에서 흔히 사용하는 보약입니다.

<경고사항>
이 글은 전문가가 아닌 블로거 개인이 작성한 글이므로,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필자는 글의 내용으로 인한 모든 피해에 대해 책임지지 않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필요한 경우 반드시 전문가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