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딸기는 약으로 쓰는 약으로는 덜 익은 것을 쓰며, 맛은 시고 달고 무독하다



산딸기는 약으로 쓰는 약으로는 덜 익은 것을 쓰며, 맛은 시고 달고 무독하다


산딸기는 약으로 쓰는 약으로는 덜 익은 것을 쓰며, 맛은 시고 달고 무독하다

산딸기의 효능 산딸기는 우리가 접하기 쉬운 종류 순서로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
산딸기, 복분자딸기, 나무딸기, 줄딸기, 멍석딸기, 거지딸기, 곰딸기, 장딸기, 수리딸기, 맥도딸기, 섬딸기, 겨울딸기, 거제딸기, 거문딸기, 오엽딸기, 가시딸기, 검은딸기가 있으며 이외에도 동정되지않은 사슴딸기 등이 있습니다.

생각보다 종류가 다양하죠?


우리가 쉽게 시장에서 사먹는 딸기의 종류는 복분자딸기와 산딸기, 나무딸기로 재배를 통한 수확이 가능하기에 쉬 볼수 있습니다.

때문에 산딸기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위 세가지만을 생각하게 되지만 실제 야생에는 더 많은 종류의 산딸기가 우리도 모르게 자라고 스러져갑니다.
산딸기의 종류~전초, 꽃, 열매의 비교 여기서는 각 종류별 전초의 모습, 꽃의 모습, 열매의 모습으로 간략히 비교하여 차이를 구분해 보겠습니다.

1. 산딸기 우리가 가장 흔하게 접하는 산딸기로 줄기에 가시가 많아 산행시에 찔렸던 경험들이 한번씩은 있을 것입니다.

표준명(국명)은 산딸기이며 나무딸기,산나무딸기,흰딸, 참딸이라고도 부릅니다.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피며 열매는 6월부터 익습니다.

복분자는 덜 익은 열매를 약재로 사용하는 것의 명칭이며 ‘뒤집어진다’는 뜻의 ‘복(覆)’과 ‘항아리’인 ‘분(盆)’을 합해 ‘복분자(覆盆子)’라는 이름이 생길 정도로 기력회복에 타고난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3. 나무딸기 높이 1m 내외로 줄기와 가지에 바늘같은 가시가 있습니다.

대부분 산딸기를 나무딸기로 착각한 상태라 잎의 모양을 비교해 보시기 바랍니다.(펌) 3. 산딸기 산딸기는 줄기가 붉은 갈색으로 줄기 위에 불룩하게 모여 있으며 작은 가시와 털이 있고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4. 꽃 산딸기는 5월에 꽃이 피고 7월에 붉은 색으로 익는데, 열매가 익는 시기는 8월임.


본초비요에는 ‘뿌리는 음력 3월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리며 수태음경, 족태음경, 간수, 방광경에 들어간다’ 고 나와있습니다.

5. 꽃 산딸기 꽃은 6월에 꽃이 피고 7월에 붉은 색으로 익는데, 꽃은 잎이 나오기 전에 꽃줄기가 5-7cm로 꽃이 달리지 않고 다닥다닥 붙어 핍니다.
꽃줄기는 꽃이 필 때는 말라있어 꽃과 줄기가 서로 떨어져 있으나 꽃이 피면 10cm 정도로 다시 붙고 꽃줄기는 꽃이 피고 열매를 맺고 난 뒤에는 밑으로 처져있어 줄기를 감싸고 있습니다.

산딸기는 소변을 자주 보는 분이나 몸이 붓는 사람한테는 맞지 않습니다.
잘 익은 산딸기_ 잘익은 산딸기에 솜털이 송송_ 산딸기 복용방법 (산딸기 복용시 주의할 점) 1. 산딸기를 채취할 때에는 이른 봄철 삽시간에 산딸기가 움직이므로 발 빠른 사람이 해뜨기 전에 산딸기의 움이 돋아 주위를 살펴서 삽으로 가볍게 파낸는 것이 상책이다.

2. 산딸기가 푸른 빛이 도는 것은 자연산이 아닌 것이므로 사지 말아야 한다.

4. 산딸기의 검은 술(甛酒)의 색소는 지방질과 단백질을 합성하여 생긴 것이므로 소변에 혼탁이 오고 정력이 덜어지며, 뒤에 덥혀 모두 불통하기도 한다.
5. 산딸기는 초여름 덜 익었을 때에 따서 햇볕에 말려서 쓴다.


6. 산딸기는 약으로 쓰는 약으로는 덜 익은 것을 쓰며, 맛은 시고 달고 무독하다.
기운을 돋우고 몸을 가볍게 하며, 눈을 밝게 하고 머리털을 희어지지 않게 한다.

7. 산딸기를 ‘산류(山溜)’라 한다.

꽃의 꿀을 따면서도 꿀벌의 애를 앓지 아니하고, 다른 과실류는 그 종자를 떨구어 내면서도 산류는 해치지 않는다.

산류가 무성하고 꽃이 피면 벌과 나비가 날아와 모여드는 것이 마치 ‘거상(居相)’을 보는 듯하다.
8. ‘산딸기’, ‘복분자’, ‘나무딸기’의 비교 ▶ 복분자의 특징 · 산딸기와 복분자 딸기는 흔히 같은 것으로 알고 있지만, 엄밀히 다른 품종이다.

· 맛은 복분자는 새콤하고 달며 맛이 부드럽고, 산딸기의 맛은 달고 시며 맛이 없다.
· 복분자는 재배하면 소산이 거의 없으나 산딸기의 경우 재배하는 것은 부자로 자랄 수 있는 환경이 못된다.

· 복분자는 익지 않아도 부패하지는 않으나 산딸기의 경우, 익지 않으면 부패균이 많아서 씨앗이 땅에 떨어질 때 없어질 수가 있다.
· 그러나 복분자나 산딸기에는 설탕을 넣고 발효시키는 번식 방법이 있어 씨앗이 어느 정도 떨어지지만, 복분자는 열매가 익을 때 까지 시간이 많이 걸리는 편이다.

<경고사항>
이 글은 전문가가 아닌 블로거 개인이 작성한 글이므로,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필자는 글의 내용으로 인한 모든 피해에 대해 책임지지 않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필요한 경우 반드시 전문가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