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미는 소화가 잘 안 되기 때문에 최소 30분이상 식사를 해야 합니다



백미는 소화가 잘 안 되기 때문에 최소 30분이상 식사를 해야 합니다


백미는 소화가 잘 안 되기 때문에 최소 30분이상 식사를 해야 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사람들이 잘 몰랐던 백미의 효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쌀은 흔히 현미의 형태가 대부분입니다.

대부분의 쌀을 차지하는 것이 현미의 껍질인 셈입니다.


쌀의 영양은 껍질에 대부분 들어 있습니다.

쌀을 도정하여 벗기면 겉껍질(왕겨)이 있고, 속껍질(쌀겨)이 남습니다.
쌀의 영양분은 쌀의 겉껍질인 왕겨에 대부분 있기 때문에 왕겨를 제거하고 백미로 도정을 하면 쌀밥에서 미네랄이 거의 다 사라져 버립니다.

우리가 주로 먹는 밥은 현미를 중심으로 도정한 쌀인 강낭콩을 섞어 있는 정도이며, 현미에 현미찹쌀과 백미를 50% 정도 섞어 밥을 지으면 우리가 보통 먹는 밥이 현미쌀인 강낭콩이 섞인 밥입니다.
쌀의 왕겨를 제거하면 영양분은 거의 없습니다.

쌀의 영양분은 거의 없는 강낭콩이 대부분입니다.
도정을 하면 쌀의 가장 중요한 성분인 전분질은 대부분 없어지고 강낭콩과 쌀겨만 잔뜩 남습니다.

백미에는 에너지를 내는 탄수화물은 거의 없고, 단백질, 지방, 비타민 등은 있으나 미네랄은 거의 없습니다.

쌀에 남는 영양분은 지방으로 축적되어 동물성 포화지방산이 가장 많습니다.


지방의 비율이 무려 60% 이상입니다.

백미는 탄수화물과 지방 덩어리입니다.
백미에 들어있는 탄수화물은 섬유질이 거의 없어 섬유질 섭취가 필요한 서양 사람들은 백미를 먹지 않고 현미를 먹습니다.

백미와는 달리 현미는 씹으면 씹을수록 맛이 납니다.

많이 씹을수록 침이 많이 분비되어 소화가 잘 되며, 현미는 소화가 잘 되지 않기 때문에 그만큼 많은 양의 오래 씹어야 합니다.

반면에 우리나라 사람들은 소화도 잘 되지 않으면서 쌀밥을 먹어야 하기 때문에 씹지 않고 삼키기 때문에 소화에 필요한 효소를 섭취하지 못해 소화와 영양소 섭취가 부족한 식사를 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소화기능이 약한 분들은 소화 흡수도 잘 안 될 뿐 아니라 영양소 섭취도 부족해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칩니다.

벼 도정과정에서 겉껍질(왕겨)을 벗겨 내면 쌀에 있던 미네랄이 거의 사라지게 됩니다.


백미에 들어 있는 미네랄은 5대 영양소(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에 속하는 것으로, 탄수화물은 에너지를 내는 데 가장 중요한 영양소입니다.

특히 뇌세포의 구성성분인 포도당은 탄수화물에 의해 제공되기 때문에 탄수화물을 빼놓고 단백질과 지방만으로 뇌세포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습니다.
단백질과 지방은 우리 몸의 중요한 에너지원입니다.

다만 탄수화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화, 흡수를 덜 하기 때문에 충분히 섭취하지 않는 경우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현미의 도정과정에서 쌀의 겉껍질인 왕겨를 모두 벗겨내면 쌀 속에 있던 미네랄이 거의 남지 않게 됩니다.

쌀의 속껍질인 쌀겨에 있던 미네랄은 몸에 꼭 필요한 영양소입니다.
쌀겨에는 칼슘, 인, 철분, 나트륨, 아연, 칼륨, 마그네슘 등의 필수 미네랄이 들어 있습니다.

미네랄은 우리 몸의 구성성분인 세포막, 신경전달물질, 호르몬 등을 만드는 성분이기 때문에 이들 미네랄이 모자라면 우리 몸의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비타민이나 미네랄은 소화나 흡수가 잘 안 되기 때문에 부족하게 되면 중요한 영양소들이 제 역할을 못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현미에는 탄수화물이 많고, 단백질, 지방, 비타민, 미네랄, 식이섬유 등이 부족합니다.
현미와 비교해 백미는 단백질과 지방은 많으나 비타민과 미네랄이 부족합니다.

백미에는 비타민B1, B2, 나이아신은 부족하지만 비타민E, 칼슘, 철분, 구리, 아연, 마그네슘, 칼륨 등의 미네랄은 풍부합니다.
백미를 먹는 것과 현미를 먹는 것은 차이가 많이 납니다.

현미에는 다양한 영양소가 많기 때문에 현미를 먹으면 영양 결핍이 생길 수 있습니다.

쌀눈이 살아 있는 현미밥을 먹는 것이 좋습니다.

백미에는 탄수화물이 대부분이고, 단백질, 지방, 미네랄, 섬유소가 부족한 반면 현미에는 단백질, 지방, 비타민, 미네랄, 식이섬유가 풍부합니다.


백미에는 소화가 안 되는 탄수화물뿐입니다.

소화가 잘 되는 탄수화물은 없고 지방만 있어 소화에 좋지 않습니다.
밥은 식사 후에 바로 먹으면 안되고 최소 30분이상 천천히 먹어야 소화가 잘됩니다.

그러나 백미는 소화가 잘 안 되기 때문에 최소 30분이상 식사를 해야 합니다.
백미에는 영양소가 없고, 밥의 식감은 거칠기 때문에 소화가 잘 되지 않습니다.

현미는 백미에 비하면 칼로리가 높지만, 지방이 적고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소화가 잘 되는 반면에 백미는 탄수화물과 지방뿐이라 소화가 잘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소화가 잘 되지 않은 백미를 먹는 것이나, 소화가 잘 되지 않는 현미밥을 먹는 것은 건강에 아주 좋지 않은 것입니다.

5대 영양소는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비타민, 미네랄입니다.

그러나 백미에는 비타민B군, 철, 아연, 구리와 같은 미네랄이 부족합니다.
탄수화물은 우리 몸에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데, 중요한 영양소입니다.

탄수화물이 부족하면 살이 빠집니다.
현미에는 미네랄, 식이섬유, 비타민B1, B2, 나이아신, 비타민E 등의 필수미네랄이 많아 백미에 부족한 영양소는 보충해주지만, 소화가 잘 되지 않아 위장의 부담을 줄입니다.

소화가 잘 되는 현미밥을 먹는 것이 우리 몸에 맞습니다.
백미와 함께 먹는 것은 소화흡수를 도와주는 채소, 과일, 해조류, 잡곡, 견과류, 콩류, 생선류, 우유, 치즈 등 소화가 잘 되지 않는 음식을 같이 먹는 것이 좋습니다.

백미에는 미네랄, 식이섬유, 비타민B1, B2, 나이아신, 비타민E 등의 필수미네랄이 부족합니다.
현미에는 필수미네랄이 풍부합니다.

백미와 현미를 백미처럼 가공해도 미네랄은 대부분 살아 남는다.
백미에는 에너지를 내는 탄수화물은 거의 없고, 단백질, 지방, 미네랄, 비타민 등은 있으나 미네랄은 거의 없고, 지방만 있어 좋지 않습니다.

흰쌀밥은 빵과 국수 등 다른 음식을 만들 때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지 밥으로 먹을 때는 건강에 좋은 밥이 아닙니다.

따라서 흰쌀밥은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흰쌀밥은 밥을 지을 때 백미를 30%만 넣고, 나머지 70%에는 현미를 넣어 밥을 해야 합니다.
현미만으로 밥을 할 때는 딱딱하여 먹기 힘든 밥이 됩니다.

이럴 때는 쌀을 30~40% 더 넣고 잡곡을 30~40% 더 넣어 밥을 하면 좋습니다.
밥을 할 때 소금을 넣는 것은 오히려 밥맛이 좋지 않습니다.

음식의 간은 먹는 사람의 입맛에 맞추어야 합니다.
탄수화물과 영양소를 같이 먹으면 소화하기 쉽고 소화가 잘 되는 순서와 영양소의 비율이 맞습니다.

탄수화물은 에너지를 내는 영양소로 가장 중요합니다.
또한 탄수화물은 지방으로 전환되기 쉽기 때문에 살이 찔 수 있습니다.

백미만 먹으면 살이 잘 찌고, 현미밥을 먹어야 살이 잘 찌지 않습니다.

<경고사항>
이 글은 전문가가 아닌 블로거 개인이 작성한 글이므로,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필자는 글의 내용으로 인한 모든 피해에 대해 책임지지 않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필요한 경우 반드시 전문가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