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국은 어느날 갑자기 생겨난 음식이 아닙니다



떡국은 어느날 갑자기 생겨난 음식이 아닙니다


떡국은 어느날 갑자기 생겨난 음식이 아닙니다

오늘은 전문가들이 칭찬하는 떡국의 놀라운 효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겨울이 되면 가장 먹고 싶어지는 음식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바로 따끈한 국과 밥이 아닐까 싶습니다.


예전에는 떡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요즘에는 떡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그리 많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하지만 따끈한 떡국은 언제나 환영을 받는 음식이기도 하지요.
특히 추운 겨울날에는 더욱 더 좋은 음식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떡국을 워낙 좋아하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우리 선조들의 지혜가 담긴 음식이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여러분이 알고 계시듯이 우리나라에는 미풍양식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식생활에 관한 풍습을 말합니다.
‘정월 초하루의 세찬(歲饌)’이나 ‘추석(秋夕)의 명절음식’ 등이 그것입니다.

이러한 설날과 추석음식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바로 떡국이 있습니다.

요즘에는 떡을 먹는 사람들이 그리 많지 않지만 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는 설날과 추석에는 항상 떡국을 먹었습니다.

그래서 우리 선조들의 지혜가 담긴 음식이라는 생각을 하게됩니다.
그러면 떡국의 효능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떡국은 어느날 갑자기 생겨난 음식이 아닙니다.
떡국은 상고시대부터 먹어 왔던 오랜 전통의 음식입니다.

떡국은 우리나라에서 새해 첫날에 먹는 첫 음식으로 여기며, 조선시대에는 한 해의 첫날인 설날에 나이가 한살씩 더해지는 날로 여겼다고 합니다.
떡국은 흰 가래떡을 떡판에 썰어 장국에 넣고 쇠고기나 꿩고기 등을 섞어 끓인 음식으로 우리나라의 전통 음식 중 하나입니다.


예전에는 음력 초하루와 보름은 물론이고 나이를 붙여 1년 내내 명절날로 여겼습니다.
설날의 대표적 절식(節食)은 떡국을 비롯하여 만두, 저냐, 편육, 빈대떡, 약식, 인절미 등이 있었으며, 이때 떡국은 대표적인 별식으로 쇠고기와 꿩고기 등을 넣은 맑은 장국을 끓이다가 미리 끓여 놓은 굵은 가래떡을 넣어 고명을 얹고 파를 넣어 대접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그 가래떡이 바로 조랭이떡이었습니다.
* 설(음력 1월 1일)떡국은 하얗고 긴 가래떡을 동그랗게 써는 것으로 새해를 시작함을 의미한다.

* 음력 2월 1일은 중화절(中和節)로, 농사철 시작을 기념하는 명절이다.
이 날이 설날로부터 15일이 되므로 중(中)과 화(和)를 합치면 ‘화(和)를 생(生)한다’는 뜻이 되어 ‘화생토(和生土)’의 준말로 화합(和合)·화해(和解)·화합(和合)과 같은 뜻을 담고 있으며,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떡국을 ‘백탕(白湯)’ 또는 ‘병탕(餠湯)’이라 적고 있어, 떡을 탕이라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삶이라는 의미의 천생연분인 ‘떡’과 ‘탕’이 동음동의어(同音同義語)인 것을 이용하여 만든 것이 설음식인 떡이며 가래떡을 둥글고 길게 써는 것은 장수·번창하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떡국은 떡을 쪄서 넣는다는 점에서 시루떡과도 관련이 되며, 덕이라는 의미의 ‘떡(덕)’과 ‘탕(탕)’의 결합으로 즉 덕을 입는 것과 같다는 의미를 가진다고 한다.

* 설날 아침에 차례를 지내기 위해 또는 세배를 오는 손님을 대접하기 위해 맛있는 떡국을 끓이는 것은 매우 좋습니다.

떡국을 끓이는 재료로 가래떡을 넣기도 하고 떡국에는 보통 만두를 넣습니다.
떡을 좋아하시기 때문에 떡국을 무척이나 좋아하실 것 같은데요.

그런데 떡국은 건강에 도움이 되는 음식입니다.
물론 요즘에는 떡국을 먹는 날이 그리 많지는 않지만 이렇게 추운 겨울날에는 떡국은 훌륭한 음식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사람들은 항상 뜨거운 국물을 먹던 민족인데 떡국을 먹으면서 속을 덥혀 주는 국물을 먹을 수 있습니다.
또한 가래떡은 요즘에는 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쉽게 먹을 수 있는 식품 중에 하나입니다.

그런데 이 떡국도 그냥 만드는 것이 아닌데요.


새해가 되기 이틀 전, 설날이 되면 차례상에 올릴 음식을 준비하게 됩니다.

그런데 설날에는 떡국을 먹는 풍습이 있어 떡국을 준비하게 되는데요.
설날에 떡국을 먹는 이유는 언제부터 시작이 되었을까요?

그것은 바로 새해 차례를 지내면서 먹을 수 있었던 음식이기 때문이었습니다.
예전에는 주로 탕으로 끓여 먹었다고 하는데요.

이는 고기를 넣지 않고 소금으로 간을 하고, 흰색의 국물을 부어 하얗고 긴 떡을 넣고 끓여 먹는 것이 전통입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설날 뿐 아니라 평소에도 이 떡국을 먹는 경우가 많은데요.

떡국의 주재료는 흰떡과 쇠고기, 그리고 만두입니다.

이 세가지가 떡국의 주재료가 됩니다.


흰떡은 동전처럼 둥글게 썰어 사용하고, 쇠고기는 다져서 양념하여 얹거나 양념하여 떡과 함께 넣습니다.

만두는 껍질을 벗겨서 두부와 섞어 잘 다져 넣고, 쇠고기와 섞어 삶은 숙주나물을 물기를 꼭 짜서 얹습니다.
그리고 이 쇠고기 다진 것을 만두 속에 넣습니다.

이렇게 세 가지 것이 들어가야 떡국을 끓일 수가 있습니다.
여기에 또 하나가 있다면 고명을 올려주는 것입니다.

고명으로는 달걀을 지단처럼 만들어 붙여서 상에 올리는데요.
주로 달걀을 황백으로 분리하여 황백지단을 만들어 붙입니다.

이런 음식에는 어떤 효능이 있을까요?
바로 건강을 챙기는 음식입니다.

또한 떡국을 먹으면서 건강을 챙겨보는 것은 어떨까요.
떡국의 주재료인 가래떡은 길게 쭉쭉 뽑아내어 만든 모양이 엽전과 닮아 있어서 동전떡국이라고도 불렸는데요.

이 가래떡을 그냥 먹는 것보다는 따끈하게 쪄서 떡국을 만들면 더 맛있게 먹을 수 있습니다.
다른 음식에서는 가래떡을 만들 때 가래떡을 뽑기 좋은 상태로 잘라서 만들지만, 떡은 가래떡을 손으로 쭉쭉 늘어트려야 쫄깃쫄깃하고 맛이 좋습니다.

그렇다면 이 가래떡의 효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래떡에는 칼슘 성분이 많이 들어있다고 합니다.
이 성분은 뼈와 치아를 튼튼하게 해 주는 성분인데요.

그리고 가래떡에는 엽전모양의 떡이 붙어 있는 것처럼 비타민과 무기성분들이 많이 들어있습니다.
이런 성분들은 항산화 효능이 있어 노화 예방에 좋다고 합니다.

그러나 가래떡은 그냥 먹으면 퍽퍽할 수 있는데요.
그럴 땐 물에 불려 간장이나 된장을 조금 넣어 가래떡을 찍어 드시면 더욱 맛있게 드실 수 있습니다.

가래떡은 칼로리가 낮아 다이어트에 좋다고 합니다.
그러나 가래떡에는 탄수화물 성분이 많이 들어있어 많이 드시면 다이어트에 좋지 않다고 하네요.

가래떡은 칼로리가 매우 낮고 건강한 음식이기 때문에 떡을 좋아하지 않은 분들도 가래떡의 효능을 알고 드신다면 건강을 챙길 수 있는 훌륭한 음식이랍니다.
바로 몸 속의 가래를 밖으로 내보내 주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가래떡은 장을 활발하게 해 주고 변비에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가래떡의 효능으로 피로회복을 꼽고 싶습니다.

그래서 떡을 드시면 몸을 떡처럼 무겁게 해 주어 소화를 더디게 한데요.
그러니 너무 많이 드시지는 마세요.

<경고사항>
이 글은 전문가가 아닌 블로거 개인이 작성한 글이므로,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필자는 글의 내용으로 인한 모든 피해에 대해 책임지지 않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필요한 경우 반드시 전문가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